수원 A초교, 20명중 7명만 등교
도시락·이른 하교시간 등 '부담'
"이런 사태에 왜 보내" 비난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3월 학교 개학이 연기돼 '돌봄 대란'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감염 우려로 인해 상당수 학부모들이 가정돌봄을 선택했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아이를 돌봄교실에 보낸 맞벌이 부부들은 가족돌봄휴가조차 마음 놓고 쓸 수 없는 데다 현실적이지 못한 돌봄 종료시간, 주변의 따가운 시선까지 겹쳐 괴로운 하루를 보내야 했다.
2일 수원 A초등학교 돌봄교실. 오전 9시부터 엄마의 손을 잡고 마스크를 쓴 아이들이 등교하기 시작했다. 지난달 28일 진행된 수요조사에 긴급돌봄을 신청한 학생은 20명이었지만, 이날 돌봄교실에 온 학생은 7명에 불과했다.
경기도교육청의 긴급돌봄조사에 따르면 긴급돌봄교실을 운영하는 학교는 1천318개교이고, 수요조사에서 1만2천353명의 학생이 신청했지만 실제로 이날 등교한 학생은 절반 수준인 6천906명에 그쳤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줄지 않으면서 집단 감염을 우려한 학부모들이 긴급돌봄서비스를 외면한 셈이다.
하지만 현실성이 떨어진 서비스 질도 외면당한 이유 중 하나다. 교육부가 돌봄시간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정했지만 학교 현장에선 오후 3시로 마감해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맞지 않았다.
점심 역시 도시락을 준비해야 하는 등 학부모들의 부담이 컸다. 학부모 이모(40)씨는 "휴가를 쓰는 게 눈치 보여 막 1학년에 입학한 아이를 보냈는데, 도시락을 준비해야 하는지 몰라서 결국 다시 데려 오기로 했다"고 말했다.
주변의 시선도 한 몫 했다. 학부모 안모(32)씨는 "엄마들 사이에서 이렇게 사태가 심각한데 왜 보내느냐는 분위기가 있어 오히려 학교를 보내는 엄마가 이상해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가족돌봄휴가 등을 쓸 수 없어 아이를 보낸 학부모들은 가슴앓이만 해야 했다. 정부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10일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권장했지만 중소기업에 다니거나 자영업자 등은 사실상 사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학부모 홍모(39)씨는 "자영업을 해 어쩔 수 없어서 긴급돌봄으로 아이를 보냈는데, 혼자밖에 오지 않았다고 해 결국 다시 데려왔다"며 "정부의 '아이돌보미 서비스'도 알아봤지만 돌보미의 감염 여부도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해 신청하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에서 법으로 보장한 가족돌봄휴가를 쓰지 못하게 한다는 신고가 들어오면 이를 관리감독하겠다"고 말했다.
/공지영·신현정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