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천시가 올해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진행한 감사는 3건, 관계자는 4명이다. 1천여 공직자 중 불과 1%에도 미치지 않는 수치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여러 의혹과 논란을 보면 과연 감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의문이 든다. ▲로컬푸드 금품수수 ▲법인카드 유용 ▲이권 개입 ▲부적절 골프 모임 등 크고 작은 의혹들이 시 안팎에서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이들에 대한 조치는 경징계에 불과하거나 '징계도 아닌' 훈계, 그도 아니면 '방관'에 그친다.
공무원들의 각종 비위행위를 조사하는 감사담당관은 시장 직속 부서다. 모든 것을 시장에게 보고하고 처리하는 시장의 복심이란 뜻이다. 하지만 포천시는 공직 사회에서조차 감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내·외부 평가 모두에서 청렴도가 하락하는 것은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한 결과다.
포천시는 전국 61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2019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에서 이웃인 동두천과 의정부 보다도 낮았다. 2등급을 받았을 때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포천시가, 4등급에는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못한 채 '침묵'한다. '포천 공직사회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여론을 이제라도 무섭게 받아들이고, 지난 과오를 뼈저리게 반성해야 한다. 더는 청렴한 다수의 공직자를 일부 비위 공직자들과 섞어 도매금으로 욕먹게 해서는 안 된다. 누가 할 수 있을까. 박윤국 포천시장의 결단만이 '포천은 원래 청렴해'란 말을 회자시킬 수 있다. 내년도 포천시의 청렴도 결과를 기대해 본다.
/김태헌 지역사회부(포천) 기자 119@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