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계획, 지자체 자체수립 구조
비용 늘면 공모 불참·기피 가능성
대광위, 기재부등 추가투입 논의
경기도를 북(北)에서 남(南)으로, 동(東)에서 서(西)로 연결하면서 교통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립사업이지만, 역사 건립은 지자체의 몫으로 남아있어 비용상의 이유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따르면 이제 논의를 시작한 GTX-D노선을 제외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A·B·C 3개 노선에 계획된 전체 역사는 30곳이다. → 그래픽·표 참조
이 가운데 청량리역과 서울역, 삼성역 등 3곳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복합 환승센터를 구상하면서 'GTX 환승 트라이앵글'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나머지 27곳(A노선 8곳·B노선 11곳·C노선 8곳) 가운데 13곳은 환승센터 계획이 아예 없고, 14곳은 GTX 계획과 별개로 지자체 등에서 환승센터를 구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GTX 역사와 관련된 계획을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세우도록 규정돼있기 때문이다. 예산 역시 광역교통시행계획에 포함되는 등 국가사업으로 인정받지 못할 경우 전액 지자체에서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복합 환승센터 건립을 기피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되지 않는 GTX 단독 역사만 건립해도 인근에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것 자체에는 무리가 없어 가뜩이나 재정상황이 넉넉지 않은 지자체에서는 굳이 막대한 비용이 드는 환승센터를 추진할 이유가 적은 것도 사실이다.
특히 30%의 사업비가 국비로 지원된다고 해도 지자체는 나머지 70%의 비용을 충당해야 하기 때문에 복합 환승센터 건립비가 대폭 늘어날 경우 공모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대광위는 약 2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GTX 사업이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대광위는 지자체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현행 법상 30%까지 지원할 수 있는 사업비를 추가 지원 가능하도록 기획재정부 등과 논의하고 있다.
대광위 관계자는 "전기자전거나 전동킥보드 등 공유 모빌리티를 활용하거나 생활SOC 등과 연계해 주민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길 기대한다"며 "선정된 사업에서 제안하는 역사 출입구와 대합실 등 계획을 GTX 기본계획과 RFP(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에 반영해 지자체의 구상안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