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인력보다 건물 대부분 서버
별도 법인 들어오면 수십억 '대박'
일반산단보다 고급인력 지역수급

경기도 내 지자체들이 데이터센터 민간 투자유치를 위한 경쟁에 다시 뛰어들었지만 이를 통한 경제효과가 얼마나 나타날지 미지수다.

데이터센터를 유치하면 건설 등 간접고용과 장기적 IT(정보기술) 산업 기반 마련 등을 기대할 수 있으나 실질적인 세수나 직접고용 효과는 미미하기 때문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 IT 대기업은 물론 관련 산업이 발달한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이 데이터센터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네이버가 제2 데이터센터를 조성할 때 118개에 달하는 지자체와 민간사업자가 뛰어들 만큼 투자유치 경쟁이 뜨거웠지만 신규 데이터센터 조성에 따른 경제효과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건물 공사를 하면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간접고용과 향후 부지 주변에 발달할 수 있는 IT 산업 등 기대감은 있지만 당장 많은 수의 일자리나 세수입까지 창출해내기는 불투명해서다.

먼저 데이터센터가 조성되는 관할 지자체가 지방·법인세 등 세수 효과를 보려면 센터 조성 주체가 별도 법인을 함께 세우거나 옮겨와야 하는데 실제 조성 단계에 이르기 전까지 관련 여부 등을 단정하기 어렵다.

또 센터 특성상 상주 인력보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시설이 건물 대부분을 채우다 보니 상대적으로 직접고용 효과가 낮다.

대신 건물 공사 과정에서 얻게 되는 일시적인 지역 건설경기 회복과 데이터센터 조성을 통해 향후 주변에 발달할 수 있는 IT 관련 산업에 대한 기반 마련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우배 인제대학교 동남권발전연구소 소장은 'IDC 산업의 입지적 특성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 논문을 통해 "데이터센터 유치는 IT 서비스 산업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관계자는 "해외 주요 글로벌 기업이 국내 진출하고 건설·리츠 등 비IT 기업까지 투자에 뛰어들 만큼 데이터센터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세수나 고용 효과의 경우도 별도 법인이 함께 들어오면 대규모 센터는 수십억원 수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고용도 일반 산업단지에 비해 고급 인력이 지역에 수급된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