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다수 10년 넘게 갱신 안해
데이터 관리 주체 달라 활용 난항
"실시간 갱신 시스템 필요" 목소리
정보화 시대 주도권을 가졌다고 할 만한 구글·애플·아마존·페이스북 등은 모두 플랫폼 기업으로 국내외에서 영향력을 갈수록 키워 나가고 있다.
대부분 공간정보 기반으로 사업에 나선 기업들인데 국내에선 공공과 민간의 관련 데이터 상호 활용은 물론 기존에 갖춰진 공간정보 플랫폼마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공간정보 데이터 양과 현재 구축된 정보마저 관리주체가 제각각인 데다 실시간 갱신마저 더디다 보니 일원화된 통합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한국국토정보공사(LX)에 따르면 정부·공공기관과 민간 등을 통해 현재 생산되는 공간정보는 수치지형도·항측영상·3차원정보·실내공간정보·지하시설물정보 등 다양한 범위로 구축돼 있다.
그러나 다양하게 생산·구축되는 공간정보 데이터는 물론 이를 유통·관리하는 플랫폼마저 관리 주체가 각각 다르고 정보 갱신도 제대로 되지 않아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전국 지자체가 갖추고 있는 도시정보시스템(UIS·Urban Information System)이 대표적 사례다. UIS는 지난 1995년 101명이 목숨을 잃고 202명을 다치게 한 대구 가스폭발 사고를 계기로 전국 지자체가 2000년대에 구축했다.
당시 지하철도 건설현장 시공사가 지하 도시 가스관을 파손해 50m 높이 불기둥과 280㎏ 무게 복공판(지하철 공사장을 덮은 철제 판)이 하늘로 치솟을 정도의 대규모 폭발사고를 냈는데, 이후 지자체들이 그동안 여기저기 흩어져 관리가 되지 않던 지상·지하 등 공간정보의 관리 체계를 만든 것이다.
하지만 시스템만 갖춰 놓고 대부분 지자체들은 데이터 갱신을 제대로 하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난 2008년 해당 시스템을 구축한 경기도 내 한 지자체는 관내 도로나 관련 시설물의 보수·설치 등 변경 사항이 있었음에도 시스템상 정보 갱신은 최근까지 진행한 바가 없다.
또다시 대구 가스폭발과 같이 지하 시설물 등과 관련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아무런 시스템 구축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재난재해 발생 시 사고 이전은 물론 사후 작업도 해당 지자체나 관련 기관 공간정보로 수습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며 "지금이라도 상시 생산·구축되는 공간정보를 시스템상 실시간 갱신하도록 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