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301000174700007251.jpg
김달수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 자체 라디오방송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수년 전부터 도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교통방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왔지만 이미 방송시장이 포화상태인 상황에서 주파수를 얻기는 쉽지 않다는 반론에 매번 좌절돼왔다. 하지만 최근 99.9㎒를 사용해온 경기방송의 폐업으로 주파수 확보에 길이 열리면서 그간 논의 수준에 그쳤던 경기도 자체 방송국 개국이 가능해지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의회 김달수(민·고양10) 문화관광체육위원장은 경기도 자체 방송국 설립에 앞장서고 있다. 그는 "도민들이 지역 정체성을 공유할 수 있는 방송이 필요하다"며 "논의를 구체화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경인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경기도는 그간 수도권이라는 의미로 서울·인천 지역과 묶여 있어 타 지역에 비해 나름의 정치, 문화, 경제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다"며 "그간 민간(경기방송)에 그 역할을 맡겨왔는데 폐업한 이상, 도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래 비전에 대한 도민들의 총의를 모을 수 있는 방송국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 차제 방송국은 타 광역지자체 차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통방송' 모델이 아닌, '안전방송' 모델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는 방송에 특수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며 "도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 대응, 경기북부지역의 특수성, 남북관계 등 여러 현안이 안전을 통하는 만큼 시민 안전방송을 목표로 추진돼야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결국, 그간 없었던 새로운 방송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의 통합과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공론의 장 기능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시가 운영하는 TBS의 경우 시민들한테 인기가 많다 보니 광고도 많이 받고 충분히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며 "도민들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함께 웃고 웃을 수 있는 콘텐츠를 채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다만 '방송광고 판매대행 등에 관한 법률(미디어랩법)'에 따라 광고 결합판매의 길이 막혔고, 그로 인해 안정적인 사업비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해법을 제시했다. 그는 "경기도뿐 아니라 31개 시군이 함께 출연을 한다면 예산을 모으는 것도 어렵지 않고, 시군의 여러 사업을 대행하는 방식으로도 수익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도내 시군의 목소리를, 또 민원을 담을 수 있다면 각 기초지자체의 지지를 얻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도 자체 방송국 설립에 대한 필요성과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본격적으로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도의원과 도 공무원, 전문가, 시민 등이 참여하는 경기도 시민안전방송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하고 구체적인 설립 계획과 채널 운영 등을 풀어갈 예정이다. 또 방송통신위원회에 설득하는 과정을 거쳐 20여년 간 경기도 방송으로 운영됐던 99.9㎒를 도민들에게 되돌려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경기도 자체 공영방송을 통해 도민이 지역에 애정을 갖고 자신의 삶과 밀접한 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민간에 맡겨둘 것이 아니라 경기도가 나서 공공성을 갖춘 방송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