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전 인천에서 발생한 수돗물 유충사태가 잦아들지 않고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화성과 서울 구의, 부산 화명, 공주 옥룡, 울산 회야 등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는다. 환경부는 관로에서 증식한 유충이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오염시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정부는 총리와 장관이 나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유충이 계속 발견되면서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국 정수장 관리 실태에 대한 정밀한 조사와 함께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긴밀하게 협력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환경부는 인천 공촌과 부평정수장 외에 전국 정수장 5개소에서 유충이 발견됐다고 21일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까지 전국 고도처리 정수장 49곳에 대해 긴급 조사를 했다.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정수장은 모두 고도처리 설비인 활성탄 여과지(활성탄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다. 활성탄지는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이 번식한 장소로 추정되는 지점이다. 정부는 문제가 된 고도처리 정수장 외에 일반 정수장 435개소도 26일까지 조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수돗물 유충을 확실하게 막겠다고 한다. 생물체가 활성탄지에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정수장 시설 문제로 유충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수도 설계 기준을 개선하기로 했다. '고도정수처리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수돗물 유충 대응 상황실을 운영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서구 공촌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 공정을 중단하고 표준정수처리 공정으로 전환했다. 정수장과 배수지에는 거름망을, 4개 정수장 여과지에는 60개의 해충 퇴치기를 설치했다. 하지만 유충 발생이 계속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방안에 불신이 커지는 양상이다.

인천에서는 20일에도 21건의 유충 발생 사례가 신고됐다. 정부와 지자체가 대책을 마련하고 재발을 막겠다고 해도 시민들이 믿을 수 없는 상황이다. 안심하지 못하는 수돗물은 재난과도 같다. 일상생활의 리듬이 깨지고 불편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인천 서구 주민들은 지난해 붉은 수돗물 사태를 떠올리며 극도의 불안을 호소한다. 관계 당국은 이른 시일 안에 믿고 쓸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바란다. 확실한 재발방지대책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정부와 지자체가 땅바닥 불신에서 벗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