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2
사진은 아파트 단지 전경. /경인일보 DB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이 고공행진하면서 높은 보증료에 부담 느낀 서울 세입자들이 그나마 상승 폭이 낮은 경기도로 대거 이주할 것으로 보인다. 재현 조짐의 전세대란에 2017년에 발생했던 전세난민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 세입자에 밀린 도내 세입자들은 또다시 외곽으로 몰릴 위기에 처했다.

14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4억9천922만원으로 5억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2년 전인 2018년 7월의 4억5천46만원보다 무려 10.8% 상승했다.

전·월세 상한제(5%), 계약갱신청구권(2+2년), 전·월세 신고제를 삼두마차로 하는 임대차 3법이 시행되면서 집주인들이 상한제와 청구권을 회피하기 위해 대거 물량을 거둬들여 수요 대비 공급이 대폭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서울의 전셋값에 밀려 서울 세입자들이 그나마 접근성이 나은 경기도로 대거 이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평균 전셋값이 2억5천450만원에서 2억6천969만원으로 5.9% 상승해 서울보다 오름폭이 낮다. 또 서울의 전세 보증료가 더 높다 보니 서울 세입자들은 주거지를 옮기는 불편이 따르겠지만 경기도 내에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데에 부담은 다소 덜한다.

다만 경기도의 경우 서울 세입자들의 대거 이주로 전셋값이 폭등할 수 있다. 지난 2017년과 2018년 초에도 서울의 전셋값 폭등으로 세입자들이 대거 경기도로 몰리면서 경기도는 전세난민 발 전세대란에 시달린 바 있다. 이에 경기도 세입자들은 더 싼 보증료를 찾아 경기도 외곽으로 밀려나기도 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전세난민이 재현될 우려가 크다"며 "경기도의 인구는 늘어날 수 있지만 도내 취약계층은 보금자리도 잃고 특히 서울에 직장을 두고 있을 경우 직주접근성도 대폭 떨어져 불만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