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701001164500060991

안양 36%·부천 36.9% 등 도내 12개 시군 분류화율 70%에도 못 미쳐
역대급 장마로 부천·군포서 역류 사고… 집중호우 피해 예방책 필요


올해 역대급 장마로 부천 옥길신도시 한 아파트 단지에서 오수가 역류하고 군포에서는 빗물이 넘쳐 인도를 물바다로 만드는 등 매년 집중호우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땅속 하수관에 유입되는 빗물과 오수를 분리해 이 같은 역류 사고 등을 줄이기 위한 하수관로 정비사업이 20년째 진행 중인데 여전히 분류화율이 턱없이 낮은 지자체가 적지 않아서다.

27일 환경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전국 기초지자체에 국비를 지원해 강우 시 역류 사고와 미처리 하수 발생 등의 주원인인 합류식 하수관로를 분류식으로 교체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내 31개 중 12개 지자체는 아직 분류화율이 70%에도 못 미쳐 합류식 하수관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프 참조

지난 2018년 말(환경부 최신 통계) 기준 하수관로 분류화율이 60% 이하인 지자체가 안양(36.0%)·부천(36.9%)·수원(47.6%)·의정부(50.4%)·광명(54.2%) 등 5개, 60~70%인 지역은 양주(60.4%)·파주(62.1%)·화성(65.5%)·연천(65.6%)·안성(66.3%)·오산(65.7%)·동두천(67.9%) 등 7개였다.

지자체마다 재정 상태가 다르고 구도심이 많아 분류식 교체가 어려운 지역 등 여건 차이는 있다. 하지만 분류화율이 낮을수록 합류식 하수관로로 동시 유입되는 오수와 빗물이 많아 그만큼 하수처리장 비효율성은 물론 역류 사고나 미처리 하수 등 발생량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최장 기간 기록을 세울 만큼 많은 비가 내린 이번 장마 때도 곳곳에 관련 사고가 발생했다.

합류식 구간인 군포초등학교 인근 하수관로가 터져 인도를 물바다로 만들었고, 부천에선 완공 3년밖에 안된 신도시 아파트에서 오수가 역류했다. 수원 공공하수처리장에서는 지난 7월 한 달 가운데 11일 동안 용량이 초과 돼 완전한 정수 과정을 거치지 못한 오수가 하천에 방류되기도 했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주변에 비해 지대가 낮거나 구도심인 탓에 하수관 공사가 불가한 지역이 많은 지자체는 분류화율이 낮을 수 있다"며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해 쉽지 않은 사업이지만 매년 불어나는 집중호우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책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