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부족 신도시, 신청 잇따라
검증 받은 인력, 방문까지 수개월
일부, 민간시장·독박육아 내몰려

2020090701000318900014601



지난 2018년, 15개월 아이가 베이비시터의 학대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여론은 물론, 국회에서도 민간 베이비시터 관리의 필요성에 목청을 높였지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민간 베이비시터는 제대로 관리·감독되지 않고 방치됐다.

베이비시터가 '민간'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됐다는 게 여성가족부가 손을 놓은 이유인데, 정부가 두 눈을 감은 사이 부모들은 불안감 속에서도 할 수 없이 민간 베이비시터에 아이를 맡겨야 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 편집자 주

지난 7월 광주에서 60대 베이비시터가 30개월 아이를 폭행했다는 주장(7월27일 자 7면 보도)이 나왔다.

지난해 10월 둘째를 출산한 이후 정부의 아이돌보미를 신청해 대기 40번을 받고 7개월 가량 기다렸지만 감감무소식이었다. 게다가 인근에 시간제 어린이집도 없고 일반 어린이집도 대기번호 162번을 받아 사실상 두 아이 모두 가정에서 독박육아를 해야만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교통사고까지 겪으면서 할 수 없이 민간 베이비시터를 구했는데 결국 사달이 난 것이다.

이렇게 경기도에는 곳곳에 제대로 된 육아시설 없이 아파트만 잔뜩 짓는 신도시들이 개발되면서 영유아를 키우는 젊은 부부들의 베이비시터 구인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아이돌보미 수가 워낙 한정적인데다 어린이집 등 육아시설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내 일부 신도시는 교통 등 도시 인프라 구성도 제대로 돼 있지 않아 민간 베이비시터조차 구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7일 도 여성비전센터 등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도내 아이돌보미는 4천659명인데, 돌보미를 신청한 가정은 7천409곳으로 489곳이 대기 중이다. 이중 고양시는 가정 70곳이 돌보미 연계를 기다리고 있고, 남양주시 60곳·부천시 59곳·안양시 56곳·화성시 45곳이 대기하고 있다.

아이돌보미 서비스는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정부가 검증한 아이돌보미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처럼 대기 가정이 늘어나자 정부는 지난 2016년부터 아이돌보미를 1천~3천명 넘게 추가 양성하고 있지만, 일부 가정은 대기에 지쳐 민간 베이비시터를 찾거나 독박 육아에 내몰리고 있다.

광주의 A씨도 "집으로 오는 교통편이 불편하다면서 지원자 중 1명은 지원조차 취소했다"며 "몸이 아파 아이돌보미를 신청했는데 정부는 묵묵부답이었다"고 토로했다.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을 살펴보면 수원시의 경우 1천 곳에 달하는 어린이집이 있지만, 광주시는 338곳에 불과했다. 베이비시터를 구하는 민간사이트인 맘시터에도 성남시 분당구는 지원자가 1천400여명에 달했지만, 용인시 처인구는 448명에 그쳤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