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401000606900029871
김도란 지역사회부(의정부) 기자
경기북부지역에서 다시 불고 있는 분도(分道) 바람이 심상치 않다.

더불어민주당 김민철(의정부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이 지난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돼 법안심사 소위에 넘겨졌다. 사안을 국회가 본격적으로 다루게 됐다는 의미다. 올해 심사를 거쳐 내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다면 2022년 지방선거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경기도를 남과 북으로 나누는 것은 경기북부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다. 이 지역 주민들은 경기북도가 생기면 지역 균형 발전은 물론 행정 효율이 높아져 주민편의도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남부 979만명, 서울 973만명, 경기북부 344만명, 부산 342만명으로, 부산을 제치고 전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경기북부는 인구 규모로도 독자적인 지방자치단체 구성의 기준을 충족했다는 주장이다.

김 의원이 발의한 법안에 경기남부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15명을 포함, 50명이 함께 서명했다는 점은 법안 처리에 기대를 모으게 한다. 국민의힘(옛 미래통합당) 김성원(동두천·연천) 의원도 '경기북도 설치 법안'을 별도로 제출한 상태다.

경기도의회는 북부분원 설치와 함께 경기북도 설치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의정부시의회도 지난달 '경기북도 설치 추진위원회 구성 및 운영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여기에 김정겸 의정부시의원이 경기북도 신설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국회와 경기북부 지자체를 순회하며 진행하는 등 다양한 주체가 각자의 방식으로 분도를 주장하는 모양새다.

과거 선거철 단골 이슈로 공약화했다가도 선거만 지나면 사라지고 말았던 경기북도 신설 논의가 이번엔 결실을 맺기 바란다. 정치적 셈법을 떠난 주민을 위한 변화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김도란 지역사회부(의정부) 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