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해 빈 축사만을 지켰던 농가들이 돼지 재입식을 준비하고 있지만, 방역시설 마련과 종돈 구매 등 풀어야 할 숙제로 또 다른 고민에 빠졌다. 경기도의회는 이와 관련해 정부와 경기도에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25일 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은 논평을 내고 "경기도 양돈 농가들의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지난해 9월 ASF 확진 사례가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 도내 195개 농가, 32만668마리의 돼지가 살처분됐다. 이후 1년여간 멧돼지 등에서 ASF가 꾸준히 발견되면서 도내 양돈 농가는 축사를 비운 상황이다.
이로써 ASF가 충청도나 강원도 등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10일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난해 10월 9일을 마지막으로 11개월 이상 사육돼지에서 ASF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재입식 절차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절차를 밟아 다음달 10일께 도내 200여 농가에 재입식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양동 농가는 여전히 고민이 많은 상황이다. 기다렸던 재입식 시점이 잡혔지만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 등을 개정해 양돈 농가의 방역시설에 대해 기준이 높아져 이를 위한 시설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돼지열병 중점관리지구 내 양돈농가는 내·외부 울타리, 방조·방충망, 방역실, 전실, 물품반입소독시설, 축산폐기물 보관시설 등 설비를 갖춰야 한다.
양동논가 입장에서는 이미 살처분 등으로 수십억원의 빚이 생긴 상황에서 대규모 방역시설 마련과 종돈 구입에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와 경기도의 지원대책은 살처분 매몰비와 생계안정자금 등으로 편중돼있어 시설 보강을 투자는 개별 농가의 몫으로 남았다.
민주당은 "재입식을 희망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엄격한 기준만을 내세울 것이 아니라 재정적·행정적 지원대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며 "하루 속히 돼지울음 소리와 함께 양돈 농가들이 꿈을 키울 수 있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