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독감접종은 코로나19 여파로 무료 접종이 시작되기 전부터 우려를 낳았다. 올해 청소년과 노인까지 무료 접종 대상이 확대된 데다 '더블데믹'을 우려한 시민들의 접종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면서 예방 접종 수요가 예년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또 일부 보건소에서는 코로나19 업무가 가중되면서 무료 예방접종 업무를 일선 병원으로 위탁했고 '1일 100명 접종'이라는 인원제한까지 두면서 예년보다 '백신 찾아 삼만리' 현상이 심해질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여기에 올해에는 콜드 체인 상태가 아닌 실온 보관 상태로 백신이 옮겨지는 사고까지 터지면서 백신 접종사업에 빨간 불이 켜진 상태다.
실제 지난달 22일 시작될 예정이었던 영·유아(1회 접종) 무료 백신 접종이 연기되면서 현장에서는 혼란이 발생했다. 일부 병원에서는 모든 연령에 대해서 무료 접종이 불가하다고 안내한 반면 어떤 병원들은 영유아에 대해서도 유료 접종이라면 가능하다고 안내하는 곳도 있었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백신의 경우 정부가 물량을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병원에서 제약회사들을 상대로 공급을 받은 뒤 비용을 보전하는 방식으로 접종이 이뤄진다. 하지만 앞선 이유들로 인해 일부 병원은 예년보다 필요한 만큼의 백신 물량을 확보하지 못했고 백신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독감 백신을 지난해보다 500만 도즈를 더 생산해 전체적인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보다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세심한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제는 독감을 접종받기 위해 긴 줄을 늘어서고 백신이 있는 병원을 찾아 이곳저곳 전화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대책들도 함께 고민해 봐야 할 때다.
/이원근 사회부 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