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너지' '밸류체인' '앵커 터넌트'…
정부 행정용어 '순화방침' 무색
'조례 만들어 독려' 서울과 대조

"미증유의 코로나19 Pandemic 상황과 4차 산업혁명 심화는 생존전략으로서 아날로그 기반의 산업구조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

"스타트업 파크 정착, 제물포 창업 인큐베이터 조성, 드론 클러스터 및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으로 디지털 전환 기반 마련."

알쏭달쏭 외국어로 가득한 이 문장은 인천시가 최근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인천형 뉴딜 정책'의 분야별 발표 자료 중 일부다. 인천시는 이 자료를 토대로 시민들에게 인천형 뉴딜 정책의 우선순위를 뽑아달라고 했다.

바이오 헬스 밸리, 바이오 클러스터, 바이오 밸류 체인 등 이름만으로는 도대체 어떤 사업인지 이해하기도 힘들고, 이를 부연하는 "인천시-경제청-ITP간 독자적 정책추진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 미비 및 앵커 터넌트와 중소기업 간 협력체계 부족"이란 설명마저 외래어 투성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한글날을 앞두고 "공공에서부터 우리말 사용에 모범을 보여달라"고 당부했지만, 여전히 인천시의 정책 자료와 공문서, 홍보물에는 정체불명의 외래어가 가득한 실정이다.

행정안전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도 수년 전부터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 행정용어 순화어를 각 공공기관에 배포해 사용하도록 했지만, 어려운 한자어 또는 일본식 표현, 외래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행안부 순화어대로라면 '인천 내항 재개발 마스터플랜'은 '인천 내항 재개발 종합계획'으로 순화할 수 있다. '사고 다발지역'은 '사고 잦은 곳'으로, '킥오프-회의'는 '시작 회의' 등으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와이파이(근거리 무선망)'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나 대체 불가의 외래어도 있지만, 가능하면 일반 시민과 민원인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대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를 비롯한 광역·기초단체는 최근 앞다투어 '국어 사용 조례'와 '한글 사랑 조례' 등을 제정해 우리말 사용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서울시 조례의 경우 공문서의 언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표현을 사용하고, 무분별한 외래어 및 외국어, 신조어 사용을 피한다. 가급적 공급자가 아닌 시민 입장의 용어를 사용한다'고 규정했다. 또 공문서의 국어·한글 사용 실태 조사를 매년 실시하도록 했다.

하지만, 인천시는 아직 한글 사용과 관련한 조례는 없고, 한글 관련 업무가 여러 부서로 나뉘어 있어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실정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