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101000307100015911
공승배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인천서부경찰서, 아직도 1960~70년대 경찰 수준을 못 벗어난 건가."

최근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주민지원협의체(협의체)가 관할 경찰서의 정보 경찰관뿐 아니라 당시 정보보안과장, 경찰서장에게까지 총 200만원대의 금품을 전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은 이런 반응을 보였다. 매년 100억원 이상의 수도권매립지 '주민지원기금'을 다루는 협의체와 범죄 수사를 담당하는 경찰 사이에 금품이 오간 행위를 '구시대적 행태'라고 꼬집었다. 특히 과거부터 주민지원기금 횡령 등의 비위 행위가 반복됐던 협의체와 경찰 사이에 유착이 있는 것 아니냐고 의심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모두 경찰이 자초한 일이다.

협의체 위원장은 경찰에 금품을 건네기 두 달 전에 서부경찰서로부터 '경찰의 날' 표창까지 받았다. 순수하게 경찰 행정 발전에 기여한 공으로 포상을 받은 것인지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이들은 금품을 받았던 당시 서부서 정보보안과장 A경정과 협의체 위원장이 친분 관계가 있다고도 입을 모았다.

협의체가 경찰에 건넨 골프의류 등의 금품은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 수수료에서 형성되는 '주민지원기금'으로 구입한 것들이다. 매립지 인근 주민을 위해 사용하라는 목적에서 2천500만 수도권 시민들이 낸 세금이 경찰에게 흘러갈 정도로 엉터리로 쓰이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 같은 행태의 중심에는 협의체가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최근 협의체 구성 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주민지원기금 투명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그동안 기금 관리에 손을 놓고 있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지만, 지금이라도 매년 100억원이 넘는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 사안을 수사 중인 인천지방경찰청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협의체와 경찰 간 무슨 관계가 있었는지 투명하게 밝혀내야 할 것이다. 불신을 자초한 경찰이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법이다.

/공승배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