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행정개편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와 김포·부천·시흥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민의힘 이학재 인천시당위원장은 20일 인천시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어 "인천과 경기 김포, 부천, 시흥을 통합해 인구 500만명의 제1광역도시를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의 통합과 경기도 분도 등 행정구역 재편으로 각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정작 인천은 고요하기만 하다"며 "인천시도 연접 도시와의 통합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라고 제안 이유를 설명했다.
9월 기준 4개 지자체의 인구는 인천 294만2천명, 김포 46만3천명, 부천 82만2천명, 시흥 49만3천명으로 모두 472만명에 달한다. 이학재 위원장은 행정구역 통합으로 각 지역 사이에 얽히고 설킨 교통, 주거, 교육의 문제를 동일 행정구역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인천과 김포와의 통합이 최우선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포는 인천 서구와 강화군, 서울, 한강 하구로 둘러싸여 경기도의 다른 시·군과는 육지로 연접한 곳이 없다. 인천 입장에서는 행정구역 사이에 김포가 끼어 있어 각종 도로 개설과 개발 사업, 도시계획 수립에 있어 단절 문제가 발생한다.
이 위원장은 "역사적으로 김포는 인천, 부평과 동일 행정구역, 생활권이었고, 인천시가 통일을 대비해 추진하는 남북 교류 사업의 중심지가 될 잠재력을 갖췄다"고 했다.
경기도 인접 도시와의 통합 논의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89년 당시 경기 김포군 계양면과 옹진군 영종·용유면이 인천직할시에 편입됐다. 광역시로 바뀐 1995년에는 강화군과 옹진군, 김포군 검단면이 인천에 통합됐다.
민선 5기 송영길 시장은 2013년 말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메가시티' 구상 계획을 밝히면서 김포·부천·시흥과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인천과 김포·부천·시흥 통합…500만 도시로"
이학재 국민의힘 시당위원장 주장…"김포, 역사상 같은 생활권"
입력 2020-10-20 22:40
수정 2020-10-21 10:4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10-21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