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몰 사업이 기로에 서 있다. 청년몰 사업은 쇠퇴일로의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정부가 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해온 사업이지만 시행착오로 귀결될 공산이 크다. 전국적으로 청년몰의 매출액은 2019년 대비 20% 감소했으며, 폐업률은 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하지 않은 점포의 가동률도 72%에 불과한 상황이다. 사업에 투입된 지자체 예산과 자부담을 고려하면 1천억원 이상의 손실이다.
인천시의 경우 사정이 더 나쁘다. 용현시장 청년몰은 2016년 6월 중소기업청 지원을 받아 10개 점포가 들어섰으나 9개월 만에 9개가 문을 닫았다. 가좌시장과 부평시장의 청년 창업 지원사업도 사실상 실패했다. 인천 강화군 강화시장의 청년몰은 조성 당시 주목을 받았으나 현재 20개였던 점포 중 15%인 3곳만 운영을 하고 있다. 중구 신포시장 청년몰의 가동률은 19%에 불과한 실정이다. 청년몰 내 21개 점포 중 17곳이 문을 닫았고, 영업중인 가게는 현재 4곳 뿐이다. 점포 임차료 50%를 지원해주는데도 들어오려하지 않는다. 신포시장의 '눈꽃마을' 청년몰은 상가 특성화 전략이 엉뚱하다는 지적을 받으며 출발했는데 입주 상인들간의 불화까지 겹쳐 상권이 붕괴된 것이다.
이같은 실태의 원인은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의 여파라고 할 수 있지만 사업 추진과정과 사후관리의 부실 등이 더 근본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시장은 야간 영업이 어려운데다 주로 중장년층 이상의 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전통시장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전통시장이 외면받고 있는 것은 서비스나 업종 문제보다도 불편한 교통과 주차공간의 부족 때문이다.
청년들의 창업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전통시장의 상권분석이나 유동인구수 특성에 대한 면밀한 고려 없이는 성공할 수 없으며 지속성을 지니기 어렵다. 대형마트나 백화점을 가도 충분한 물건을 사기 위해 전통시장을 찾는 사람은 없다. 청년몰도 마찬가지이다. 전통시장 중에서 살아남는 시장은 나름의 특성이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는 곳들이다. 청년창업지원 정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실패사례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 전통시장을 재생하는 특성화, 차별화하는 전략과 연계되지 않는다면 시행착오만 거듭할 가능성이 높다
[사설]전통시장 청년몰 사업의 교훈
입력 2020-11-05 20:22
수정 2020-11-05 20:22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11-06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