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jpg
사진은 경기도청사. /경인일보DB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를 위해 인천시만의 자체 매립지를 영흥면 외리 일대에 조성키로 한 가운데(11월13일자 1면 보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경기도가 도내 소각장을 신·증설하는 한편 각 시·군에 있는 매립지를 권역별로 사용할 수 있게끔 기초단체와 협의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는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가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인천시의 '쓰레기 독립' 선언에 대한 대책을 묻는 양철민(민·수원8) 의원 등에게 이같이 답했다.

도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해) 일단 현재 소각장들의 용량을 증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23개 시·군에 소각장이 26개가 있는데 각 시·군별로 증설 등의 계획이 있는지 받았다. 예를 들면 남양주시는 도시가 커지면서 소각장을 신설할 계획이 있고 용인 역시 증설·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구리시도 증설을 고민하고 있다"며 "도내에 있는 9개 매립지에 대해서도 각 시·군에 요청해 해당 시·군만 쓰는 게 아니라 권역별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협의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도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대부분을 소각하는 한편 매립지에는 소각재나 태울 수 없는 쓰레기에 한해서만 매립하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그러면서도 도는 "기본적으로는 수도권매립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환경부, 경기도, 인천시, 서울시간 4자가) 합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도는 인천시가 지난 12일 자체 매립지를 영흥면 외리 일대에 조성하겠다며 발표하자 "인천시만의 계획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다. 도 관계자는 "기존 4자협의를 충실히 진행하고 해당 협의체의 결정을 이행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더 이상 경기·서울 쓰레기를 인천에서 처리하지 않겠다는 사실상의 '쓰레기 독립' 선언에 도에서도 소각장 증설 등 별도 대책을 마련하고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양철민 의원은 "2026년부터는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할 수 없다. 지금 준비해도 늦는데, 도의 대책 마련이 너무 늦은 감이 있다"며 종합대책을 수립한 후 도의회에 보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남국성기자 na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