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를 위해 자체 매립 후보지를 옹진군 영흥면 외리 일대로 발표하자 경기도내 자치단체는 자원회수시설(소각장 등) 대책마련과 관련해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경기도는 2018년 기준 25개 시·군에 28개 자원회수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하는 자치단체의 매립량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일단 인천시만의 계획일 뿐이라고 일축하며 기존 4자협의를 충실히 진행하고 해당 협의체의 결정을 이행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2026년 쓰레기 예상소각량 5천259t에 대비해 2025년까지 기존 시설 증·개축지원에 이어 도내 9개 시·군에서 쓰레기 1일 1천300t을 처리할 수 있도록 소각장 신설 계획도 밝혔다.
수도권매립지 매립량 감축과 함께 직매립 제로화가 당장 목전에 닥쳤지만 일선 자치단체의 일반폐기물 감축 및 자원회수시설 신·증축사업의 진척도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10월 현재 수도권매립지내 매립목표량 대비 반입 쓰레기량이 초과된 도내 지자체는 1천%를 초과한 포천시를 비롯해, 화성(총량초과 비율 637.9%), 남양주(160.7%), 김포(150.8%), 의왕(145.2%), 구리(144.8%), 의정부(141.6%), 하남(141.5%), 광주(120.3%), 광명(108.5%), 부천(106.7%) 등 순으로 나타났다.<도표참조>
지자체마다 자원회수시설 증·개축이나 신설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주민갈등이나 자치단체간 갈등으로 번지며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광명, 화성, 이천, 광주, 부천 등은 기존 광역시설을 확장하거나 광역시설로 추진 중이나 가장 큰 걸림돌은 '남의 쓰레기를 왜 내 지역에까지 끌어들이냐'는 지역주민의 반발에 부딪히는 것이다. 용인, 고양, 의정부, 안산, 남양주, 가평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도 시설 노후화나 용량부족으로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신축해야 하는 실정이나 주민 동의가 뒤따라야 해 사업추진과정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도는 지난 13일 열린 환경국에 대한 도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수도권 매립지 매립종료와 관련, 우선 기존 소각장의 용량 확대를 위한 증축·신설과 매립시설이 부족하거나 없는 22개 시·군에 대해 시설 신·증설에 적극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존 9개 시·군 매립지에 대해서는 해당 시군과 논의, 4개 권역별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광주·인천·의정부/이윤희·김민재·김도란기자 flyhigh@kyeongin.com
경기도는 2018년 기준 25개 시·군에 28개 자원회수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하는 자치단체의 매립량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일단 인천시만의 계획일 뿐이라고 일축하며 기존 4자협의를 충실히 진행하고 해당 협의체의 결정을 이행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2026년 쓰레기 예상소각량 5천259t에 대비해 2025년까지 기존 시설 증·개축지원에 이어 도내 9개 시·군에서 쓰레기 1일 1천300t을 처리할 수 있도록 소각장 신설 계획도 밝혔다.
수도권매립지 매립량 감축과 함께 직매립 제로화가 당장 목전에 닥쳤지만 일선 자치단체의 일반폐기물 감축 및 자원회수시설 신·증축사업의 진척도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10월 현재 수도권매립지내 매립목표량 대비 반입 쓰레기량이 초과된 도내 지자체는 1천%를 초과한 포천시를 비롯해, 화성(총량초과 비율 637.9%), 남양주(160.7%), 김포(150.8%), 의왕(145.2%), 구리(144.8%), 의정부(141.6%), 하남(141.5%), 광주(120.3%), 광명(108.5%), 부천(106.7%) 등 순으로 나타났다.<도표참조>
지자체마다 자원회수시설 증·개축이나 신설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주민갈등이나 자치단체간 갈등으로 번지며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광명, 화성, 이천, 광주, 부천 등은 기존 광역시설을 확장하거나 광역시설로 추진 중이나 가장 큰 걸림돌은 '남의 쓰레기를 왜 내 지역에까지 끌어들이냐'는 지역주민의 반발에 부딪히는 것이다. 용인, 고양, 의정부, 안산, 남양주, 가평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도 시설 노후화나 용량부족으로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신축해야 하는 실정이나 주민 동의가 뒤따라야 해 사업추진과정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도는 지난 13일 열린 환경국에 대한 도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수도권 매립지 매립종료와 관련, 우선 기존 소각장의 용량 확대를 위한 증축·신설과 매립시설이 부족하거나 없는 22개 시·군에 대해 시설 신·증설에 적극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존 9개 시·군 매립지에 대해서는 해당 시군과 논의, 4개 권역별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광주·인천·의정부/이윤희·김민재·김도란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