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를 위한 인천발 카운트다운이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도내 지자체의 자원회수시설(소각장 등) 증축 및 신설 추진사업은 속도를 못내고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태다.
현재 광명, 화성, 이천, 광주, 부천 등은 기존 광역시설을 확장하거나 광역시설로 추진 중이며 용인, 고양, 의정부, 안양, 안산, 남양주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는 시설 노후화나 용량부족으로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신축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장 큰 걸림돌은 '남의 쓰레기를 왜 내 지역에 끌어들이냐'는 지역주민의 반대나 '혐오시설을 왜 경계지 근처에 세워 남의 동네까지 피해를 입히느냐'는 등 자치단체간 갈등으로 비화하는 데 있다.
의정부시는 내구연한이 지난 장암동 소각장(200t 규모)을 대체하기 위해 2023년 준공 목표로 자일동 자원순환시설(220t규모) 신축을 추진중이었으나 지역주민과 포천 등 인접 자치단체의 반발로 현재 입지예정지 주변 생물상(동식물 현황) 조사를 실시 중이다.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 등 대규모 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따라 1일 250t 규모의 소각시설을 포함한 자원순환종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중으로 현재 행정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진행 및 후보지 3곳에 대한 입지선정위원회의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17년부터 곤지암읍 수양리 일원에 1일 430t(소각 200t, 음식물 150t, 재활용 80t) 처리규모의 '종합폐기물처리시설' 건립을 추진중이나 사업지 인근의 이천시 신둔면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하남과 용인 등과 광역시설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8월 전략환경영향평가(조건부 동의)도 받은 상황에서 이천시와 협의가 잘 되지 않자 현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한 상태다.
광명시의 광명시자원회수시설은 300t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고 있고 있는 광역시설이나 시설 노후화로 인근 부지에 350t 규모로 신규 건립할 계획이다. 10월 용역 완료후 11월 환경부와 사전예산협의를 거쳐 내년부터 건립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화성시도 오산시와 함께 사용중인 화성그린센터를 1일 300t에서 500t 처리규모로 늘리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이밖에 고양, 용인, 안산, 가평 등은 기존시설 확충 및 개보수 를 추진할 계획이며 오산, 의왕, 하남 등은 자체 시설 최신화 및 인근 자치단체 시설확충시 지분 참여등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자체가 추진하는 사업 모두 반드시 해야 한다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첫삽을 언제 뜰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광명, 화성, 이천, 광주, 부천 등은 기존 광역시설을 확장하거나 광역시설로 추진 중이며 용인, 고양, 의정부, 안양, 안산, 남양주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는 시설 노후화나 용량부족으로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신축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장 큰 걸림돌은 '남의 쓰레기를 왜 내 지역에 끌어들이냐'는 지역주민의 반대나 '혐오시설을 왜 경계지 근처에 세워 남의 동네까지 피해를 입히느냐'는 등 자치단체간 갈등으로 비화하는 데 있다.
의정부시는 내구연한이 지난 장암동 소각장(200t 규모)을 대체하기 위해 2023년 준공 목표로 자일동 자원순환시설(220t규모) 신축을 추진중이었으나 지역주민과 포천 등 인접 자치단체의 반발로 현재 입지예정지 주변 생물상(동식물 현황) 조사를 실시 중이다.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 등 대규모 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따라 1일 250t 규모의 소각시설을 포함한 자원순환종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중으로 현재 행정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진행 및 후보지 3곳에 대한 입지선정위원회의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17년부터 곤지암읍 수양리 일원에 1일 430t(소각 200t, 음식물 150t, 재활용 80t) 처리규모의 '종합폐기물처리시설' 건립을 추진중이나 사업지 인근의 이천시 신둔면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하남과 용인 등과 광역시설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8월 전략환경영향평가(조건부 동의)도 받은 상황에서 이천시와 협의가 잘 되지 않자 현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한 상태다.
광명시의 광명시자원회수시설은 300t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고 있고 있는 광역시설이나 시설 노후화로 인근 부지에 350t 규모로 신규 건립할 계획이다. 10월 용역 완료후 11월 환경부와 사전예산협의를 거쳐 내년부터 건립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화성시도 오산시와 함께 사용중인 화성그린센터를 1일 300t에서 500t 처리규모로 늘리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이밖에 고양, 용인, 안산, 가평 등은 기존시설 확충 및 개보수 를 추진할 계획이며 오산, 의왕, 하남 등은 자체 시설 최신화 및 인근 자치단체 시설확충시 지분 참여등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자체가 추진하는 사업 모두 반드시 해야 한다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첫삽을 언제 뜰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광주·의정부/이윤희·김도란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