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화성시 등 11곳 반입량 초과
지역 개발 탓 발생량 더 늘어날 듯
자원회수시설 증축·신설 난항 속
4개 권역별 시·군 협의도 '불투명'
인천시의 '쓰레기 독립' 선언(11월 13일자 1면 보도='자체 매립지' 결정한 인천시…경기도 "인천만의 계획일 뿐")에 경기도 지자체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쓰레기 매립량이 이미 초과된 지역이 다수인 가운데 소각장 등 자체 자원회수시설 추진마저 속도가 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말 기준 수도권매립지 내 매립 목표량 대비 반입하는 쓰레기 양을 초과한 도내 지자체는 11곳이다. 145t을 반입키로 돼있는 포천시는 지난달 말 현재 1천501t을 반입해 무려 1천%를 초과했다.
2천584t을 반입해야 하는 화성시 역시 지난달 말까지 실제 반입한 쓰레기는 1만6천484t에 이른다. 정해진 총량보다 6배 이상 반입한 것이다.
이어 남양주(160.7%), 김포(150.8%), 의왕(145.2%), 구리(144.8%), 의정부(141.6%), 하남(141.5%), 광주(120.3%), 광명(108.5%), 부천(106.7%) 등 순으로 나타났다. → 표 참조
인천시 선언대로 수도권매립지가 2025년에 종료되면 경기도가 도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직접 처리해야 하지만, 지금도 도내 곳곳에서 정해진 총량보다도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가운데 경기도 전반에서 개발이 가속화돼 쓰레기가 더욱 많이 생길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답이 없는' 상황이다.
도는 지난 13일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군과의 협의를 통해 소각장을 신·증설하는 한편 도내 9개 매립지에 대해서도 해당 시·군만 쓰는 게 아니라 권역별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지만 각 지자체 상황이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15일 경기도내 각 지자체에 따르면 시·군마다 자원회수시설 증·개축이나 신설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실제 지역 현장에서는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거나 자치단체간 갈등으로 번지며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광명, 화성, 이천, 광주, 부천 등이 광역시설을 확장하거나 기존 시설을 광역시설로 추진하는 중이나 '남의 쓰레기를 왜 내 지역에까지 끌어 들이냐'는 지역주민의 반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용인, 고양, 의정부, 안산, 남양주, 가평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도 시설 노후화나 용량부족으로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신축해야 하는 실정이나 주민 동의가 뒤따라야 해 사업 추진 과정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소각시설 신·증설도 주민 반발 등으로 난항인 가운데, 도 전역을 4개 권역으로 구분해 매립시설이 없는 22개 시·군이 누적 매립량이 60% 이하인 남양주·양평·용인·안성·파주 매립시설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끔 해당 시·군과 협의해나간다는 도의 계획 역시 원활하게 추진될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광주·의정부/이윤희·김도란·남국성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