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2017.jpg
서수원중고차매매단지. /경인일보DB

 

소상공인이 주를 이루는 중고차매매 시장에서 최근 대기업 진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부가 중고차매매의 생계형 적합업종(대기업 진출 불가) 재지정 여부를 결정 못하는 상황에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완성차 업계의 시장 진출 의사가 나오면서부터다.

중고차 업계는 관련 언론 보도 등으로 알려진 현재의 시장 규모나 판매대수 등이 부풀려져 대기업 진출을 위한 정보로 잘못 유통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매매상사가 직접 자동차를 제조해 판매하는 게 아닌 건 물론 소비자 대출을 통해 구입되는 차량의 중개료만 이익으로 얻는데 판매 가격으로 시장 규모가 매겨진다는 것이다.

판매가격에 따른 매출로 현재 시장 규모가 매겨지는 수치는 20조에 달한다.

이를 중고차 한 대당 가격 1천만 기준으로 매출액 연간 12조 원이라 가정했을 때, 중개료나 수수료만 따지면 2천억원 수준으로 줄어든다.

판매 대수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에선 연간 약 360만대의 중고차가 이전 등록된다.

그런데 이중 중고차 매매업계가 이전 등록하는 수치는 250만대 수준이며, 이마저도 딜러가 차량을 매입하는 비중인 절반을 빼고 실제 소비자가 중고차를 구입하는 규모는 125만대에 그친다.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들로 대기업과 달리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시장인 중고차매매 업계에 완성차 업계가 진출할 경우 기존 매매상사의 피해가 더욱 커질 거란 목소리가 나온다.

한 중고차매매사업조합 관계자는 "잘못된 정보는 물론 허위매물 문제도 극소수만 조합원의 얘기고 대부분 외부 업계와 관련 없는 판매세력"이라며 "완성차 업계가 중고차 시장까지 진입하면 과독점으로 인한 기존 시장 피해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