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단번에 1천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학교 기숙사로 눈을 돌린 이유다. 병상에는 확진자들을 치료하고 관리할 의료·행정인력 수십 명도 함께 배치되는 만큼 소규모 시설을 산발적으로 확보해 이들이 수시로 이동하는 것보다 대규모 시설 몇 곳을 운영하는 게 효율적인 판단일 수밖에 없다. 수원 경기대학교 기숙사가 생활치료시설로 운영된 후 도는 단번에 1천757개 병상을 확보했다. 기존에 운영 중인 생활치료시설 6곳의 병상을 합한 것보다 300개 가까이가 더 많은 수준이다.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인 경희대(국제캠퍼스), 한경대, 한양대(에리카캠퍼스), 경인교육대(국제캠퍼스), 대진대, 평택대 등도 생활치료시설로 쓸 수 있게 되면 병상 걱정은 한 시름 덜게 된다. 적어도 수백 명의 확진자들이 자택에서 불안감에 떨며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만은 막을 수 있게 될 터다.
첫 긴급동원조치 대상이 된 경기대에서의 논란이 현재진행형이다. 비싼 돈을 내고도 돌연 며칠 만에 방을 빼야 할 학생들이 난색을 표한다. 왜 당사자인 학생들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았는지 묻는다. 도지사 공관부터 내놓으라는 목소리도 거세다. 이사를 지원하고 대체 숙소를 마련하는 한편 기숙사비 환불을 약속했지만 반발은 당분간 가라앉진 않을 것이다. 협의는 이뤄져야 한다. 다만 협의란 늘 그렇듯 길고, 지난할 수 있다. 그 사이, 누군가는 코로나19에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 비극이 되풀이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비슷한 논란이 재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확진자들의 빠른 쾌유를 위해, 방을 내어줘야 할 학생들의 안정적인 거주를 위해 경기도는 물론 학교 측의 기민한 대응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야 모두가 살 수 있다.
/강기정 정치부 차장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