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jpg
강기정 정치부 기자
지난 15일 서울에서 사흘간 병상을 배치받지 못한 코로나19 확진자가 숨졌다. 함께 확진된 부인을 먼저 입원시킨 후 집에 남아있던 남편이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 병상을 바로 배정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속출한 새 발생한 비극이었다. 경기도라고 사정이 다르지 않다. 보상책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민간병원은 문을 쉽게 열어주지 않고 기업 연수원 등을 생활치료센터로 확보해도 200실 남짓에 불과하다. 경기도에서만 300명 가까운 확진자가 연일 새롭게 더해지는 점을 감안하면 역부족이다. 수백 명이 자택에서 병상 배정을 기다리고, 병상을 찾지 못한 확진자들이 목표의료원까지 이송되는 실정이다.

도가 단번에 1천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학교 기숙사로 눈을 돌린 이유다. 병상에는 확진자들을 치료하고 관리할 의료·행정인력 수십 명도 함께 배치되는 만큼 소규모 시설을 산발적으로 확보해 이들이 수시로 이동하는 것보다 대규모 시설 몇 곳을 운영하는 게 효율적인 판단일 수밖에 없다. 수원 경기대학교 기숙사가 생활치료시설로 운영된 후 도는 단번에 1천757개 병상을 확보했다. 기존에 운영 중인 생활치료시설 6곳의 병상을 합한 것보다 300개 가까이가 더 많은 수준이다.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인 경희대(국제캠퍼스), 한경대, 한양대(에리카캠퍼스), 경인교육대(국제캠퍼스), 대진대, 평택대 등도 생활치료시설로 쓸 수 있게 되면 병상 걱정은 한 시름 덜게 된다. 적어도 수백 명의 확진자들이 자택에서 불안감에 떨며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만은 막을 수 있게 될 터다.

첫 긴급동원조치 대상이 된 경기대에서의 논란이 현재진행형이다. 비싼 돈을 내고도 돌연 며칠 만에 방을 빼야 할 학생들이 난색을 표한다. 왜 당사자인 학생들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았는지 묻는다. 도지사 공관부터 내놓으라는 목소리도 거세다. 이사를 지원하고 대체 숙소를 마련하는 한편 기숙사비 환불을 약속했지만 반발은 당분간 가라앉진 않을 것이다. 협의는 이뤄져야 한다. 다만 협의란 늘 그렇듯 길고, 지난할 수 있다. 그 사이, 누군가는 코로나19에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 비극이 되풀이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비슷한 논란이 재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확진자들의 빠른 쾌유를 위해, 방을 내어줘야 할 학생들의 안정적인 거주를 위해 경기도는 물론 학교 측의 기민한 대응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야 모두가 살 수 있다.

/강기정 정치부 차장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