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의 최대 관심사는 '공매도'다. 개미 투자자로 공매도에 극렬히 반대하는 내 지인들도 대체로 공매도의 순기능은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신기한 건 주식시장의 거품을 얘기한다는 것이다. "지금 코스피는 버블이지. 이렇게까지 오를 건 아니야"라는 말을 여럿에게서 들었다.
거품을 조정하고, 가치에 맞는 주가로 되돌린다는 공매도를 머리로는 이해하면서도 가슴으로는 거부하는 이중성이 이들에게서 보이는 공통점이다. 연말 모임에서도 신년회에서도 주식은 늘 화두였다. 그런데 이들의 말에는 단순히 "내 돈을 잃기 싫다"는 마음 그 이상의 정서가 있었다. '두려움'이었다.
30대 중반의 전세를 사는 친구는 말 그대로 천장 없이 치솟은 집값에 혀를 내두르며 동유럽 이민까지 고민한다고 했다. 5천만원을 주식에 투자한 지인 역시 '삼백돌이'(월급 300만원 직장인을 일컫는 속어)로는 희망이 없다고 얘기했다. 해일이 밀려오기 전의 잔잔한 떨림처럼 모두가 두려워하고 있었다. '벼락거지'가 두렵고, 평생 집 없이 살아야 할까봐 두렵다고 했다.
1980년대에 태어난 우리는 60만명이 동시에 수능을 치렀고, 툭하면 100대1이 넘는 취업 경쟁률을 뚫어야 했고, LTV·DTI·규제지역 같은 용어를 이해해야만 살 수 있는 시대를 생존해가고 있다. 만기 40년짜리 주담대 대출 등장에 "이제 걱정 없이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안심하는 바보는 없다. 공매도 반대는 시장에 무지한 개미의 투정이 아니라 "나를 거지로 만들지 말라"는 절규에 가깝다. 공매도 재개는 4월 재·보궐 선거 뒤로 밀렸다. 각자도생의 세상 속에 개미를 기만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답답함만 지속할 따름이다.
/신지영 경제부 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