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단체·전문가 등 협의체 제안
북부 발전 '근거 미제시' 지적도
경공노총, 도청앞 1인 시위 돌입
광교 주민들은 비상대책위 시사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결정에 곳곳에서 파열음이 터져나왔다. 수원지역 도의원들은 재검토를 촉구했고 공공기관 노조에선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수원 광교 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시사하고 나섰다.
18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연 수원지역 도의원들은 "당장의 결정을 뒤로 물리고 원점 재검토 수준의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공공기관 이전 문제는 북부지역 도민 뿐 아니라 경기도민 전체의 문제"라며 도의회와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시민단체, 공공기관 임·직원,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포함된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같은 제안의 이유로 "공공기관 북부 이전이 북부지역 발전을 가져온다는 객관적이고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북부 발전을 이루려면 중첩 규제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 합리적 규제 완화를 위한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졸지에 이삿짐을 싸야 하는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입장이 고려되지 않았고 남부권 도민들의 공공기관 이용 접근권이 제한받는데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심지어 경기주택도시공사와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신사옥을 짓는데 각각 1천635억원, 1천800억원을 투입한 상태"라는 점을 제시했다.
김판수(민·군포4) 도의회 안전행정위원장도 "이전 발표만 하고 각 기관들의 신사옥, 기존 청사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문제는 고려하지 않았다. 리모델링 등을 통해 다른 용도로 활용한다고는 하지만 이 역시 도민들의 혈세가 낭비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이하 경공노총)은 18일 도청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섰다. '소통 없는 일방 추진, 삶의 터전 무너지네' 등이 적힌 푯말을 들었다. 19일 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응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그에 앞서 경공노총 관계자들은 장현국 도의회 의장을 만나 기관 이전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도·도의회·공공기관 노사가 참여하는 노사정협의회를 구성해줄 것을 건의했다.
수원 광교 주민들도 비대위 구성을 논의 중이다. 도지사 면담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이전 결정으로 GH(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 본사가 수원 광교 경기융합타운에 입주하는 일이 불발될 처지가 돼서다. 광교 주민들과 지역 정치권, 공공기관 노조 측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광교입주자대표협의회 측은 "(여러 공공기관이 동반 입주하는) 광교 융합타운 조성은 주민들과의 약속"이라며 "아무런 논의 없이 약속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셈인데 지역 국회의원, 수원시장, 도지사 면담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주·강기정·손성배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