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백신 1호 접종'을 놓고 정치권이 떠들썩하다. 시작은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이 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9일 페이스북에 '아스트라제네카, 대통령이 먼저 맞아야 불신 없앨 수 있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26일부터 요양시설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이 시작되는데, 일부 의료진들이 접종을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며 대통령의 1번 접종으로 누적된 국민의 불신을 덜어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국가원수가 실험대상인가"라며 발끈했다. "국가원수에 대한 조롱이자 모독"이라고 했다. 자신과 유 전 의원이 함께 맞자고 했다.
논란은 당 차원으로 확대됐다. 더불어민주당 최고위는 국민의힘이 백신 불신을 증폭시키기 위해 대통령 1호 백신 접종까지 주장하고 있다며 "공포를 증폭시키고 반과학을 유포하는 것은 반사회적 책동"이라고 비난했다. 국민의힘 비대위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면역률과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의 책임 있는 당국자부터 먼저 접종해서 백신 불안증을 해소해 달라"고 주문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불신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자신이 1호 접종자로 나설 뜻이 있다며 논쟁을 이어나갔다.
'1호 접종' 논란은 백신에 대한 국민적 불신과 불안을 정부가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데 기인한다. 정부는 1차 접종 대상자 중 93.8%가 접종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갤럽 여론조사(16∼18일)에선 '아마 접종받지 않을 것'이 14%, '절대 접종받지 않겠다'가 5%로 부정적 반응이 전체 응답의 19%나 됐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19∼20일)에선 '순서가 오면 바로 접종하겠다'는 응답과 '접종을 미루고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응답의 비율이 똑같았다. 조사 주체별로 현격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속 시원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백신 접종의 목적은 집단면역을 형성하는데 있다. 백신별 효과까지 감안하면 사실상 접종 대상자 전부가 맞아야 가능한 일이다. 믿지 못하거나 주저하는 국민을 정부와 정치권이 잘 설득해야 한다. 상징적으로 대통령이 맞고, 국무총리가 맞고, 안철수 대표도 맞고, 정청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이 함께 손잡고 가서 맞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에 관한 한 굳이 접종순서나 규정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 국민을 안심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사설]본질 벗어난 '1호 백신 접종' 논란
입력 2021-02-23 20:17
수정 2021-02-23 20:17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2-24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