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흥지구가 3기 신도시로 선정, 7만호 공급을 통해 자족도시로 개발된다.
24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1차 신규 공공택지 입지를 발표했다. 광명·시흥(1천271만㎡)지구는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시흥시 과림동 일대다.
6번째 3기 신도시로 조성되는 광명·시흥은 면적이 서울 여의도의 4.3배로 지금까지 나온 3기 신도시 중 가장 크다.
정부는 광명·시흥 신도시에 380만㎡ 규모의 공원 녹지와 수변공원을 조성하는 등 쾌적한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서울 도심까지 20분대 접근이 가능하다. 남북 방향으로 신도시를 관통하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지하철 1,2,7호선, 신안산선, 광역급행철도(GTX)-B 등과 연계한다.
24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1차 신규 공공택지 입지를 발표했다. 광명·시흥(1천271만㎡)지구는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시흥시 과림동 일대다.
6번째 3기 신도시로 조성되는 광명·시흥은 면적이 서울 여의도의 4.3배로 지금까지 나온 3기 신도시 중 가장 크다.
정부는 광명·시흥 신도시에 380만㎡ 규모의 공원 녹지와 수변공원을 조성하는 등 쾌적한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서울 도심까지 20분대 접근이 가능하다. 남북 방향으로 신도시를 관통하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지하철 1,2,7호선, 신안산선, 광역급행철도(GTX)-B 등과 연계한다.

정부는 택지 개발에서 나오는 보상금이 다시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돼 시장을 과열시키지 않도록 대토보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이번에 발표한 1차 신규 공공택지는 오는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를 모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민공람,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지구지정을 완료할 예정이다.

윤성원 1차관은 "충분한 주택 공급을 통해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 기회를 지원해 주택시장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정부 의지는 어느 때보다 확고하다"며 "앞으로도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주택 공급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