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백신 접종을 시작한 지 나흘간 누적 접종자는 2만3천86명으로 국내 인구(5천200만명 기준) 대비 0.04% 접종률을 기록했다. 순조로운 진행이지만 정부가 백신 접종을 통해 코로나19를 조기 종식하겠다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체계화된 예방접종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백신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불안 심리를 잠재워야 하는 과제도 해결해야 한다.

정부 발표대로라면 현재 7천9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한 상태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천만명분, 얀센(존슨앤드존슨) 백신 600만명분, 화이자 백신 1천300만명분, 모더나 백신 2천만명분, 노바백스 백신 2천만명분 등이다. 여기에 국제 백신 공급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1천만명분을 공급받는다. 구입 비용은 3조8천억원이 될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정부는 고위험군을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백신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원활한 백신 수급과 변이 확산 예방, 국민 신뢰 유지 등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특히 2분기를 앞둔 시점에서 구체적인 백신 공급 일정도 안갯속이다. 일부에선 전 세계적 백신 수급 불안과 맞물려 자칫 국내 백신 공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현재 2분기 중 공급이 예정된 백신은 약 480만명분으로, 화이자와 개별 계약한 350만명분과 '코백스 퍼실리티'로부터 받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129만8천400명분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가능한 한 조기에 물량을 확보해 백신 수급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정확한 수급 일정은 유동적이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인원을 1바이알(병)당 1~2명 늘릴 수 있도록 허용한 뒤 논란이 빚어지자 접종 용량을 준수하라고 지시하는 등 혼란을 자초했다.

질병관리청은 '최소잔여형주사기'를 활용할 경우 간호사에 따라 화이자 백신의 1병당 접종인원은 6명에서 7명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0명에서 11~12명까지 늘려도 무방하다고 했다. 그러나 현장에선 간호사의 부담과 계획의 안정성, 오염 가능성 논란이 불거지자 접종 용량 준수와 여러 바이알을 섞지 말라고 강조하는 등 스스로 불신을 초래했다.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선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철저한 준비와 정확한 지침이 마련돼야 한다.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혼란을 막고 백신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