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대학 상당수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새 학기를 맞았다.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 미달사태가 심화하면서 지방 대학들이 존폐위기에 내몰린 것이다. 정원을 채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했으나 역부족이었다고 한다. 원서만 내면 합격한다는 학교에, 무조건 오기만 하면 된다는 대학도 있었다. 추가모집을 하면서 현금을 주겠다는 파격 조건을 내걸기도 했다. 지난달 마감한 정시모집 등록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162개교가 2만6천129명 추가모집에 나섰으나 최종 미달 인원이 1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정원 미달사태는 지방대에 국한된 게 아니다. 수도권 대학들도 수차례 추가 모집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지역 일부 대학은 정·수시 모집 미달로 지난해보다 추가 모집 규모를 늘려야 했고, 끝내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고 한다. 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도내 대학들의 추가 모집 인원은 2020학년도 989명에서 2021학년도 1천379명으로 40% 정도 늘어났다. 신경대는 지난해보다 75명 늘어난 185명을 추가 모집했다. 안양대는 41명 늘어난 75명, 강남대는 35명 늘어난 62명이었다. 도내 대학들이 추가 모집에서도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한다.

대학들의 정원 미달 사태는 해가 갈수록 더 심화할 전망이다. 특히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수험생이 대학 정원에 미치지 못하면서 대학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2021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수능 지원자는 49만3천여명에 그쳐 사상 처음으로 5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지방대가 대규모 정원 미달사태를 맞으면서 수도권 대학들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게 현실화됐고, 결원 숫자는 해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제는 존폐를 걱정해야 하는 수도권 대학들의 위기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대학들의 대규모 정원 미달사태는 이미 예견됐던 일이다. 하지만 정부와 대학은 구조 조정을 회피하거나 미루는 등 적극 대처하지 않아 화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학 평가를 통해 하위 대학들의 정원을 감축하고 재정지원을 제한했던 전 정부 정책이 계승되지 않으면서 구조조정의 적기를 놓쳤다는 거다. 대학들의 정원 감축은 이제 피할 수 없는 다급한 상황이 됐다. 몸집을 줄여야 대학이 살 수 있다. 선제적이고 과감한 구조조정 정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