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이 들먹인다. 올해부터 전기요금 원료비 연동제가 시행되어 전기료 인상이 임박한 터에 2개월마다 원료비 변동요인을 반영하는 도시가스 사용료 상승까지 거론된다. 서울시는 6년째 그대로인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 300원 인상을 확정하고 수도요금도 현재의 누진제를 생산원가를 반영한 요금제로 바꾸는 작업을 완료했다. 여타 지자체들의 사정도 대동소이하다. 국내수입 석유의 기준인 두바이유가 연초 대비 30% 이상 올랐으며 '서민연료'라 불리는 액화석유가스(LPG) 가격도 지난해 중순부터 상승추세인 것이다.

밥상물가의 점증은 더 고민이다. 식품가격이 1년 새 10%가량 뛰며 10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식품물가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1월 6.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1%)의 2배 이상인데다 37개 회원국 중에서 터키, 칠레, 아이슬란드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2월에는 9.7%나 올라 2011년 8월(11.2%)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이다. 국내 먹거리물가는 작년 하반기부터 점차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삶의 질 저하도 눈길을 끈다. 지난해 엥겔계수는 12.9%로 2000년(13.3%)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크다. 엥겔계수란 가계소비 가운데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소득이 줄수록 지수 값은 커진다. 작년도 국민총처분가능소득(1천939조원)은 전년 대비 0.4% 증가에 그쳐 1998년 외환위기(-1.0%) 이후 가장 낮았다. 작년 겨울 한파와 AI(조류인플루엔자) 피해,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이 겹친 데다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따른 '집 밥'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생활물가를 밀어 올린 것이다. 전월세 가격 상승 등 주거비부담 증가는 설상가상이었다.

전문가들은 아직 한국은행의 소비자물가 관리목표인 2%에 미달해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하나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수가 점증하면서 그간의 억눌렸던 수요에 이목이 집중된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아직은 인플레를 염려할 단계가 아니라고 했지만 OECD는 국제원자재 및 석유가 오름세와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 등을 거론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확장재정 기조에다 시중의 눈덩이 유동성까지 가세해 더 불안하다. 밥상물가 오름세부터 잡아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