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땅 투기 의혹과 맞물려 경기도의회 의원들이 잇따라 구설에 오르면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진상조사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16일 도의회 등에 따르면 감사원은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해 부천 출신 A도의원을 조사하고 있다. A의원은 부천시의원 재직 당시 배우자 명의로 부천 대장동에 2필지를 매입했는데, 3기 신도시 지정 정보를 미리 알고 땅 투기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또 B의원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6㎞ 떨어진 곳에 토지를 매입했는데 2년여만에 공시지가가 40% 가까이 올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투기 의혹을 받고 있다. "부동산 투자를 하려 했다면 반도체 클러스터에 직접 투자를 하지 산으로 막혀있는 곳에 투자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해명에도 의혹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도의회 내부에서는 "최근 몇 년간 도내 지가가 크게 상승했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모두 투기를 한 것처럼 외부에 비치고 있다"며 "차라리 전수 조사 등을 거쳐 명확한 선을 그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도의원들 및 의회 내의 답답한 심정과 별개로 계속되는 투기 의혹으로 지방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에 대한 압력이 커지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경기도협의회는 이날 도의회 의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부동산 투기 의혹 전수조사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경실련은 "자신의 지위와 정보를 이용해 투기를 한 정황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즉시 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전수조사위원회를 구성해 개발구역에 포함된 부동산과 개발구역 인근 부동산을 모두 포함해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11일에는 진보당 경기도당이 수원역 등에서 LH 투기를 비판하는 1인 시위를 통해 도내 시·도의원의 투기현황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도의회 내부에서도 정의당 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전수조사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여야는 국회의원 전수조사, 특검, 국정조사까지 추진키로 합의하면서 지방의원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 역시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