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한국토지주택공사) 투기 의혹과 관련, '친이재명계' 의원들의 좌장격인 더불어민주당 정성호(양주) 의원이 GH(경기주택도시공사) 역할론에 불을 붙인(3월16일자 4면 보도=정성호 "3기 신도시 주체 LH에서 GH로 바꿔야") 가운데 LH의 위기가 GH에게 위기가 될지, 또 다른 기회가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합동조사단은 국토교통부·LH 직원들에 이어 3기 신도시가 조성되는 경기도·GH 직원들에 대해서도 3기 신도시 지역 토지 보유 여부와 투기 의심 사례를 조사 중이다. 이에 도 도시주택실과 GH에 근무하는 직원 대부분 정보 활용을 위한 동의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 의원은 LH를 3기 신도시 사업 주체에서 사실상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3기 신도시가 소재한 GH가 주체가 되고 LH는 보조 참여하는 방향으로 하는 게 어떤가 한다. GH는 충분한 경험과 역량이 있다. 이재명 도지사의 기본주택을 원칙으로 해 사업을 추진하면 집값 안정 및 서민 주거 안정에 획기적 전환점이 되리라 확신한다"고 역설했다.
'GH 역할론'이 힘을 받을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지는 정부 조사 결과가 가를 것으로 보인다. GH 직원들도 마찬가지로 투기 의혹에 연루될 경우 LH의 대안으로 거듭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직원들의 투기 의심 사례가 제기된 LH와 대조적인 결과가 나올 경우 GH가 급부상할 수 있다.
3기 신도시의 명운도 관건이다. GH가 3기 신도시에 많이 참여해야 기본주택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데, 이번 투기 의혹으로 3기 신도시 사업 자체가 차질을 빚게 되면 기본주택 조성 계획에도 변동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 지사는 16일 홍기원(평택갑)·이규민(안성)·이동주(비례)·김남국(안산단원을)·김홍걸(비례) 의원과 함께 기본주택 홍보관을 찾았다.
이 지사는 의원들에게 "GH의 3기 신도시 사업 지분을 확대해주면 기본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국회에서 몇 가지 전제 조건만 해결해주면 현실적으로 수행 가능하다"고 협조를 구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