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경제주체 소비 줄여
소득 증가보다 지출 안한 현상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가계 흑자 규모가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경제주체들이 지출을 줄이면서 나타난 '불황형 흑자'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가구(2인 이상)의 흑자율은 1분기 32.9%, 2분기 32.3%, 3분기 30.9%, 4분기 30.4%다. 2003년 이후 작성된 가계동향 조사에서 가계가 30% 이상 분기 흑자율을 기록한 것은 단 5차례로, 2016년 4분기 30.3% 한차례를 제외하면 모두 지난해에 나타났다.
가계가 벌어들인 돈에서 소비와 지출을 하고 남은 돈의 비율을 의미하는 흑자율이 최대를 기록한 건, 지난해 가계에서 벌어들인 소득이 늘었다기보다는 안 쓰거나 못 써서 발생한 현상이다.
소득 감소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소비 지출 폭은 커지게 되는데, 소득이 줄어드는 데 따른 기계적인 지출 감소와 미래 소득의 불안정성을 대비한 예비적 저축 수요가 더해지면서 지출이 더 크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최고 흑자율을 기록한 지난해 1분기의 경우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5만8천원으로 3.7%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394만5천원으로 4.9%나 감소했고, 가구당 평균 소득은 2분기에는 4.8%, 3분기에는 1.6%, 4분기에는 1.8% 늘었다.
코로나19 사태는 과거 경제위기에 비해 평균 가계의 소득이 늘어난 부분이 다르다. 정부와 지자체의 재난지원금 영향으로 보인다.
과거 경제 위기 후에 폭발적인 소비가 이어지는 '보복소비' 현상이 나타난 만큼, 학계에선 향후 소비지출 진폭이 커지고 경기 변동이 급격해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