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야 주요 후보들이 '경인선 지하화'를 공약으로 내놨다. 경인선 지상 구간 등 지상철의 지하화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이다. 서울시 주요 사업에 경인선 지하화가 포함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경인선 지하화는 인천 시민들의 숙원 사업이다. 막대한 사업비 때문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오랜 기간 구상에 머물러 있었지만, 이제는 추진할 때가 됐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이라는 새로운 사업이 생겼기 때문이다. GTX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경인선을 지하화해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과 경인선 철도시설의 효율적 연계 방안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용역 범위는 경인선 인천역~구로역 구간 총 27㎞(21개 역사)다. 실제로 GTX-B 노선과 경인선 지하화를 연계해 경제성을 높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선 B/C(비용대비편익)값이 기준치(1)를 넘어야 하는데, 지상 구간을 잘 활용한다면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인선을 지하화한 후 기존 상부 공간을 공공이 개발 또는 활용하면 된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국민의힘 오세훈 등 서울시장 보궐선거 주요 후보들과 국토교통부도 이 같은 구상을 하고 있다고 한다.

경인선은 인천, 부천, 서울 시민이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시설이다. 수도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인천과 부천 입장에선 아쉬운 부분이 있다. 지상으로 인천과 부천을 통과하다 보니 도심이 단절되는 부작용이 있다. 경인선이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방해되는 등 구도심 재생에 걸림돌이 된 지 오래다. 경인선을 지하화하면 상부 공간에 다양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이는 사업성 확보와 구도심 재생에 큰 보탬이 될 게 자명하다.

사업비 규모가 크다고 겁을 먹을 필요는 없다. 상부 공간 개발이익과 국비 지원 및 해당 지자체 비용 분담으로 감당할 수 있다. 인천·부천·서울이 한목소리로 경인선 지하화를 요구하면 주요 정당의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높다.

경인선과 함께 인천 구도심 재생에 걸림돌이 됐던 교통 인프라로 '경인고속도로'가 있다. 많은 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인천 기점~서인천IC)는 2015년 12월 관리권 이관 협약으로 확정됐고, 현재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경인선 지하화도 시기의 문제일 뿐 실현 가능한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