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와 인천시 부평구가 군부대 이전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울 모양새다.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는 군부대가 인천시 부평구 일신동으로 이전을 추진 중인 사실이 최근 경인일보 보도를 통해 이전대상 지역에 알려질 때부터 이미 예견된 일이다.

보도에 따르면 부천시는 오정동에 있는 수도군단 제1175공병단 제158대대와 경기남부시설단을 이전시키기 위해 지난해 12월 부평구에 공문을 보내 국방부가 소유한 일신동 17사단 인근 개발제한구역 일부에 대한 군부대 건축 허가를 요청했다. 이 사실을 안 일신동 주민들이 부대이전에 반대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반발움직임을 본격화하면서 군부대 이전 문제가 서로 인접한 자치단체 간 쟁점으로 떠오른 것이다.

오정동 군부대를 내보내고 그 자리에 친환경 스마트주거단지를 조성하는 것은 부천시의 숙원 중 하나다. 부천시는 지난 2019년 국방부와 군부대 이전사업 관련 합의 각서를 체결한 뒤 최근 민관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반면 부평구는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가 우선되어야 부대 이전을 위한 행정 절차도 진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부평구로서는 지난 2019년 인천시가 군부대 이전·통합 사업의 일환으로 부평구 산곡동 3보급단의 일신동 이전을 추진할 때 큰 진통을 겪은 터라 주민들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이런 와중에 지난 2일 부평구가 개최한 '부개·일신동 부천시 군부대 이전에 따른 주민설명회'에 부천시가 불참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물론 군부대 이전은 안보와 직결된 국가사업인 만큼 다른 공공 또는 민간사업과 똑같은 절차나 과정을 거칠 수는 없다. 하지만 주민수용성을 무시하고 무조건 안보논리에 입각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 안보논리는 중시되어야 하지만 그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불편을 겪어야 하는 주민들이 있다면 투명한 정보공개를 통해 사업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설득을 통해 동의를 구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안보와 관련이 있으면 무조건 '성역화'하는 구시대적 발상이 일을 더욱 꼬이게 만든 것은 아닌지 되짚어볼 일이다.

이제라도 부천시는 민주 사회에 걸맞은 프로세스를 통해 사태를 수습해야 할 것이다. 부평구 또한 주민들의 정서를 반영한 해법을 찾고 부천시와의 협의를 통해 소모적인 갈등을 최소화 하는데 주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