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의회는 지난해 7월 임시회를 열어 제8대 후반기 의장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맹숙 의원을 선출했다. 하지만 민주당 의원들이 이탈표를 막기 위해 기명 위치를 정하는 등 사실상 공개투표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시민단체가 민주당 시의원 12명을 공무집행 방해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법원에 시의회를 상대로 의장·상임위원장 선임 의결 효력정지 신청을 냈다. 수원지방법원은 효력을 정지하는 결정을 내렸다. 민주당 소속 일부 시의원들이 사전에 기명 위치를 정해 투표를 한 사실이 소명된다고 했다. 시의회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셌고, 지방의회 무용론까지 제기됐다.

의장이 없는 파행을 겪은 시의회가 다시 후반기 의장과 부의장, 상임위원장을 선출하기로 했다. 다수당인 민주당은 최우규 의원을 의장으로, 국민의힘은 박정옥 의원을 부의장으로 각각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회는 19일 임시회를 열어 의장단 선출 투표를 하기로 했다. 하지만 의장과 부의장에 내정된 의원들은 최근 언론에서 부동산 관련 투기 의혹이 제기된 당사자들로, 의회가 다시 파행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최 의원의 경우 지난 15일 다른 의원과 함께 시민에 의해 검찰에 진정서가 접수된 피진정인이다. 진정인은 안양역 상가 건물 입점 인허가에 개입하고 차명으로 부동산 투기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도시건설위원장 시절 충훈부 지역이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기 전 어머니 이름으로 주택을 사들였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들 두고 시의회 주변에서는 '경찰 수사가 예정된 의원을 의회 수장으로 세우는 게 정당한가' 하는 의문이 나온다. 당 내부의 자정기능이 작동되지 않아 당사자들이 스스로 결단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라는 지적도 있다.

시의회 상임위원장에 내정된 의원 일부도 부동산 매입과 관련한 투기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시의회가 예정대로 내정자들을 의장단에 선출한다면 2년 전에 겪었던 불행한 사태가 재현될지 모른다는 걱정이 커진다. 자칫 임기 마지막까지 파행을 겪을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얼마 전까지 시의회는 뼈를 깎는 자성과 쇄신을 통해 시민들의 믿음을 되찾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의회의 구태가 여전하다는 비판이다. 시의회는 새 의장단 구성에 대한 시민들의 걱정과 기대를 저버리지 말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