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소무역상인연합회 회원 200여명이 지난 20일 평택세관 앞에서 집회를 가졌다. 참가자들은 코로나19로 한국~중국 간 바닷길이 끊겨 생계를 위협받는 마당에 세관의 횡포를 견디다 못해 항의 시위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자신들이 공동구매한 중국산 농산물을 세관이 수개월째 압류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해와는 달라진 통관 기준에 대한 해명도 요구한다. 회원들은 앞으로 한 달 동안 집회를 계속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다.

연합회원들과 평택세관의 갈등은 지난 1월 시작됐다고 한다. 무역상인 83명은 지난 1월19일 전자상거래망을 통해 직구로 중국산 고추와 땅콩 등 농산물을 1인당 20㎏씩 구매했다. 특송업체를 통해 들여온 농산물은 평택세관 심사를 거쳐 인수할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압류된 상태다. 이처럼 세관을 통과하지 못해 묶인 농산물은 220여명 소유 4.4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관은 개인 특송화물로 들어온 농산물이 자가소비용인지, 상업용으로 시중에 유통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했으나 수개월째 통관도 조사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게 상인들의 주장이다.

상인들은 특히 세관 측의 일관성 없는 정책 때문에 피해를 보게 됐다고 비판한다. 세관은 지난해 12월12일과 30일에 50명이 전자상거래로 공동구매한 농산물은 통과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올 초 주문한 농산물은 검역 등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압류한 채 후속 조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세관이 별다른 이유도 없이 농산물을 압류하면서 수천만원의 재산 피해를 보게 됐다고 주장했다. 상인연합회는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에 진정하고 법적인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세관 측은 농산물의 사용처를 조사하고 있다면서도 올해 초부터 통관 기준이 달라진데 대해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보따리 무역상으로 불리는 소무역상들은 코로나19로 인해 평택항~중국 노선의 뱃길이 끊기면서 치명상을 입었다. 회원 상당수가 사라졌고, 정상적인 활동이 불가능해졌다. 이전에도 메르스 사태와 사드(THAAD) 배치 여파로 중국 당국으로부터 심각한 역차별을 받았다. 생계를 잇기조차 힘겨운 소상인들이 들여온 중국산 농산물을 세관이 수개월째 압류하면서 2중고를 겪고 있다. 세관은 즉각적인 조사를 통해 불법 여부를 판단하고 후속 조치를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