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자살률보다 2배 이상 높다고 한다. 코로나19 시국에 우울감을 느끼는 인구가 증가하는 것도 문제인데, 덩달아 자살률도 높아져 대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근본적인 치유를 위해선 중앙 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이고 특화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도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하루 평균 9명꼴로 모두 3천310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이는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 25.4명으로, 전국 26.9명보다는 낮다. 연천군이 45.8명으로 가장 많았고, 파주시는 20.0명으로 가장 적었다. 일본과 핀란드는 한때 자살률이 가장 높은 국가였으나 지역사회의 철저한 대안으로 자살률을 낮춰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자살률은 1999년 23.4명에서 2017년 14.9명으로 감소했고, 핀란드도 23.1명에서 14.6명으로 낮췄다. 두 국가의 자살률이 떨어진 이유는 정부가 아닌 지역사회의 촘촘한 안전망 확충 덕분이다. 이들 국가는 지역사회의 안전망을 구축해 경제·복지·안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노출되는 위험요소를 신속히 발굴하고 대처했다.

우리 정부는 다양한 자살예방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획일적이고 비효율적이라 효과를 거두기 힘든 실정이다. 사업의 기획은 정부 주관이나 실행 주체는 지자체와 지역사회의 몫이다. 각 지역의 사정을 고려한 특화된 예방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이유다. 일부 지자체는 지역 특성과 환경에 맞는 정책으로 자살률을 낮춰 주목받는다. 번개탄 판매개선 사업이 좋은 사례다. 경기도 자살예방센터는 2010년대 중반부터 도내 시·군과 협력해 번개탄 판매개선 캠페인을 시작했다. 마트 내 번개탄 진열대에 자살예방 홍보 문구를 부착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도에서 시작한 이 사업은 현재 국가 중점사업으로 지정돼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번개탄과 농약 등의 판매 방법을 개선하는 사업에 포함됐다.

이처럼 지자체와 지역사회는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자살예방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정부 역시 각 지자체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줘야 한다. 정부도 각 지역의 자살예방사업 수행 능력 간 편차를 줄여나가는 '표준화' 단계에서 벗어나 자살예방사업의 무게 추를 '특성화'로 변화시키는 데 앞장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