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인천시의 공공의료정책을 두고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시민단체와 인천시의회 등 각계각층에서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코로나19 사태로 열악했던 인천의 공공의료체계가 여실히 드러났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주된 얘기다. 인천은 인구 100만명당 의료기관 수가 7대 특별·광역시 중 가장 적고 공공의료기관 비율이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천 남부권의 지역 거점 공공병원 역할을 하던 인천적십자병원까지 수년째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는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8년 극심한 경영난으로 응급실까지 폐쇄된 인천적십자병원의 상황이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난 것이다. 병상 이용률은 2019년에 46.7%까지 떨어졌고, 부채는 368억원에 달하는 등 대부분 지표에서 사실상 낙제점을 받았다. 인천시가 인천적십자병원을 제2의료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인천시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공공의료정책이 시민들에게 전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인천시가 공공의료기관 확충을 위해 추진 중인 4가지 전략 중 '인천의료원 기능 강화' 정도만 가시적 성과를 보일 뿐 나머지 '제2의료원 설립',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 '영종도 국립대병원 유치' 등 3가지 전략은 좀처럼 진척이 없다. 경북권역에 밀려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에 실패했을 때는 소극 행정의 결과라는 비판까지 제기됐을 정도다.
인천시는 열악한 공공의료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하지만, 시민들의 눈엔 만족스럽지 못한 게 현실이다. 민선 7기 인천시가 시민들과의 약속을 지킬 시간도 이제 1년여밖에 남지 않았다. 이제는 '노력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지 말고, 결과로 말해야 할 때다.
/공승배 인천 정치팀 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