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14일 이른바 '이건희 미술관'을 경기북부 미군반환공여지에 건립하자고 정부에 정식 건의했다.
경기도는 이날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한 건의문에서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국토 균형 발전에서 소외되고 역차별받은 경기북부 주민들의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국가 주도로 미군 반환 공여지에 국가문화시설을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미군반환공여지는 상당부분 국유지고 국가 주도로 개발돼야 한다. 또 주변지역 주민들은 국가 안보를 위해 오랜 기간 고통을 받아 왔다"며 "이곳에는 국립문화시설이 하나도 없다. 경기도의 미군 공여지를 활용해 국가 주도로 조성하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데다 의미 또한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군반환공여지는 의정부, 파주, 동두천 등에 있다. 경기도는 필요할 경우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 변경도 각 시와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수원, 용인, 안산, 평택 등 경기남부 지역에서 삼성과의 인연을 내세우며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기초단체와의 엇박자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5월14일자 1면 보도=북부냐 남부냐 '이건희 미술관' 경기도 엇박자). 실제로 이들 지자체에선 이날 경기도의 건의 소식이 알려지자 "우리가 이렇게 노력하고 있는데 아쉽다"는 반응이 나왔다.
경기도는 이날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한 건의문에서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국토 균형 발전에서 소외되고 역차별받은 경기북부 주민들의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국가 주도로 미군 반환 공여지에 국가문화시설을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미군반환공여지는 상당부분 국유지고 국가 주도로 개발돼야 한다. 또 주변지역 주민들은 국가 안보를 위해 오랜 기간 고통을 받아 왔다"며 "이곳에는 국립문화시설이 하나도 없다. 경기도의 미군 공여지를 활용해 국가 주도로 조성하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데다 의미 또한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군반환공여지는 의정부, 파주, 동두천 등에 있다. 경기도는 필요할 경우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 변경도 각 시와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수원, 용인, 안산, 평택 등 경기남부 지역에서 삼성과의 인연을 내세우며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기초단체와의 엇박자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5월14일자 1면 보도=북부냐 남부냐 '이건희 미술관' 경기도 엇박자). 실제로 이들 지자체에선 이날 경기도의 건의 소식이 알려지자 "우리가 이렇게 노력하고 있는데 아쉽다"는 반응이 나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