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거함 160개 설치… 확대 계획
세척·소독 500원, 생산은 100원
기업 참여 '권고'… 실효성 의문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최근 배달량 급증으로 '애물단지'가 된 아이스팩 재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하지만 아이스팩 재사용에 들어가는 비용이 새로 만드는 것보다 비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서현옥(민·평택5) 도의원은 최근 '경기도 아이스팩 순환 활성화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 입법 예고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택배 배달이 급증하면서 심각한 환경오염 원인이 된 아이스팩 생산을 줄이기 위해서다. 조례안은 아이스팩 수거함을 설치하고 수거와 세척·소독·운반 등을 위한 예산을 편성토록 하고 관계 기업 등에 참여를 권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지난해부터 도비 9천만원을 들여 도내 6개 시·군 공공시설에 아이스팩 수거함 160개를 설치하는 등 재사용률 높이기에 나섰다. 올해는 21개 시·군에 도비 6억6천만원을 들이는 등 수거함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그러나 아이스팩 재사용 확대 관련 조례안에는 기업 참여가 의무가 아닌 권고 수준이라 자발적인 참여에 의존해야 하고, 수거·세척·운반하는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이 아이스팩을 새로 만들 때보다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도와 도의회의 노력이 결실을 거둘지 의문이다.
올해 초 하남시가 소형 아이스팩 100㎏을 수거해 세척과 소독을 거쳐 수요처까지 운반한 결과 아이스팩 1개당 약 500원의 비용이 발생해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인 100원보다 5배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 기업이 광고효과를 위해 아이스팩 포장재에 커다란 기업 로고를 새기고 있어 재사용과 재활용 모두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기업의 참여 없이는 반쪽짜리 노력인 셈이다.
아이스팩은 주재료가 플라스틱 일종인 '고흡수성수지(SAP)'라 폐기할 때 하수구 등에 흘려버리면 환경오염을 일으키지만 최근 코로나19와 여름철을 맞아 빠르게 늘고 있다.
환경부 추산 2019년 국내 아이스팩 생산량은 2억1천개로 4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고흡수성수지가 냉매인 아이스팩은 약 71%다.
/명종원기자 ligh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