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국정 과제였던 '분당선 급행화' 사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서울시가 일찍이 사업에 손을 떼면서 기대감에 부풀었던 경기도민만 허탈한 상황이 벌어졌다.
16일 경기도와 국토교통부·서울시 등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야탑역과 수서역~대모산역에 대피선을 설치, 수원~죽전 구간만 운행되는 급행 열차를 내년부터 전 구간(수원~왕십리)으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경우 급행 열차 운행 횟수가 기존 1일 6회에서 49회로 8배 가량 늘어난다. 분당선 전 구간을 일반 열차(85분)보다 21분 단축한 64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 공약 사항이기도 한 이번 사업은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아왔다.
하지만 취재 결과 분당선 급행화 사업은 지난해 관계 기관 협의 단계에서 멈춰선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구간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역시 첫 발조차 떼지 못했다.
문제는 지역이기주의였다. 급행화 사업은 급행열차가 정차할 수 있는 시설(대피선)을 설치하는 게 관건인데 협의 주체인 서울시에서 서울시민들이 얻는 실익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예산 투입을 꺼려 했기 때문이다. 대피선 설치비(3천794억원) 중 야탑역(1천902억원)은 경기도, 수서역~대모산역(1천892억원)은 서울시에서 국토부와 함께 사업비를 분담하기로 계획했었다. 설치비는 국비(70%)와 지방비(30%)가 투입된다.
이처럼 막대한 사업비 탓에 경기도와 서울시간 협의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16일 경기도와 국토교통부·서울시 등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야탑역과 수서역~대모산역에 대피선을 설치, 수원~죽전 구간만 운행되는 급행 열차를 내년부터 전 구간(수원~왕십리)으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경우 급행 열차 운행 횟수가 기존 1일 6회에서 49회로 8배 가량 늘어난다. 분당선 전 구간을 일반 열차(85분)보다 21분 단축한 64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 공약 사항이기도 한 이번 사업은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아왔다.
하지만 취재 결과 분당선 급행화 사업은 지난해 관계 기관 협의 단계에서 멈춰선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구간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역시 첫 발조차 떼지 못했다.
문제는 지역이기주의였다. 급행화 사업은 급행열차가 정차할 수 있는 시설(대피선)을 설치하는 게 관건인데 협의 주체인 서울시에서 서울시민들이 얻는 실익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예산 투입을 꺼려 했기 때문이다. 대피선 설치비(3천794억원) 중 야탑역(1천902억원)은 경기도, 수서역~대모산역(1천892억원)은 서울시에서 국토부와 함께 사업비를 분담하기로 계획했었다. 설치비는 국비(70%)와 지방비(30%)가 투입된다.
이처럼 막대한 사업비 탓에 경기도와 서울시간 협의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경기도는 서울시가 서울시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으니 급행화를 추진하지 않겠다며 먼저 사업 철회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서울시가 사업비를 내지 않겠다고 해서 야탑역에만 대피선을 설치하는 방안까지 고려했으나, 대피선을 서울과 경기도에 모두 설치하는 안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 사업을 접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의 입장은 사뭇 다르다. 경기도가 서울시에 사업 철회 책임을 '덤터기' 씌우려는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다만 사업의 주된 목적이 경기도민 출퇴근길 통행 시간을 단축하는 것인 만큼 사실상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데에는 동의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경기도 구간(야탑역) 급행화는 도의 판단에 따른 것이고 되레 배차 간격이 길어진 데 따른 역민원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고 봤다"고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업비 분담에 대한 협의가 안돼 사업이 추진 되지 못했다"며 "서울시는 혜택이 없으니 곤란하다고 했고 경기도는 경기도민들이 서울 시내에서 경제 활동을 하니까 이번 사업이 서울시와 무관하지 않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간 협의가 1년 전 이미 조율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최근에도 진행 사항은 없다"고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업비 분담에 대한 협의가 안돼 사업이 추진 되지 못했다"며 "서울시는 혜택이 없으니 곤란하다고 했고 경기도는 경기도민들이 서울 시내에서 경제 활동을 하니까 이번 사업이 서울시와 무관하지 않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간 협의가 1년 전 이미 조율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최근에도 진행 사항은 없다"고 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