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ㅁㅇㅎㄴㅁㅎ.jpg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고 있다. 2021.6.22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 일정 연기를 둘러싸고 찬성파인 이낙연·정세균계와 반대파인 이재명계가 22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정면 충돌했지만, 끝내 결론을 내지 못하고 오는 25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비공개 최고위를 마치고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의원총회에서 나온 여러 의견을 바탕으로 지도부가 숙의한 결과, 현행 당헌의 '대선 180일 전 선출'을 기본으로 해서 대선경선기획단이 선거 일정을 포함한 기획안을 오는 25일 최고위에 보고하고 그 보고를 받은 뒤 최종 결론을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경선 연기파는 당의 대선 승리를 위한 충정이라며 이재명 경기지사의 '통 큰 결단'을 압박한 반면, 이 지사 측은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맞서며 대립각을 키웠다.

의총에 참석한 당내 의원들에 따르면 이날 의총에서는 2대2 찬반토론을 포함해 24명의 의원들이 '계파 대리전'이 펼쳐졌다.

정 총리 측의 김종민 의원과 이 전 대표를 지지하는 홍기원(평택갑) 의원이 경선 흥행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경선 일정 연기를 당무위원회에서 논의하자는 입장을 개진했지만, 이재명계인 김병욱(성남분당을) 의원과 김남국(안산단원을) 의원은 원칙론을 내세워 경선 연기론에 선을 그었다.

김병욱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명분이나 원칙 측면 뿐만 아니라 실리나 현실적인 측면에서도 경선 연기는 불가능하다"며 "빨리 논의를 종결짓고 '원팀'으로 정권재창출을 향해 나가야 한다. 현실적으로도 후보자간 이견이 있는데 결론이 나겠냐"고 지적했다.

김남국 의원도 "4·7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한 원인을 분석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경선 일정이라는 것은 단순히 의원들이 합의하는 사항이 아니라 많은 토론과 전당원 투표를 거쳐서 당원과 국민들에게 약속한 것이다. 이 원칙을 쉽게 바꿀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도 20명의 의원이 발언기회를 신청해 '갑론을박'을 이어갔다.

설훈(부천을)·신동근(인천 서을) 의원을 비롯해 김민석·박영순·박재호·서영교·이병훈 의원 등 12명이 경선 연기론에 찬성하는 주장을 펼친 것으로 전해졌다.

신동근 의원은 "종부세 완화나 부동산 의혹 의원 출당 문제 등에서 옳고 그름보다는 대선 승리에 초점을 맞췄는데, 경선 일정 문제에서만 원칙론을 주장하는 것은 일관성에 어긋난다"며 "역동적인 경선으로 당을 통합하려면 앞서가는 사람이 통 크게 결단하고 포용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와 달리 안민석(오산)·조정식(시흥을)·이탄희(용인정)·조응천(남양주갑) 의원 등 7명은 원칙론에 무게를 실었다.

조응천 의원은 "4·7 재보선 패인인 위선과 무능에 대해 제대로 반성하고 극복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러고 있는 것을 국민이 어떻게 보시겠느냐"며 "떡 줄 생각도 안 하는데 김칫국 마실 생각을 하니 짜증나실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경선 연기파가 '대선 승리와 경선 일정 조정을 위한 안건으로 오는 25일까지 당무위를 소집해달라'는 내용의 당무위 소집 요구서 제출에 나서면서 경선연기를 둘러싼 후폭풍이 재차 당을 휩쓸 것으로 보인다. 

/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