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표 복지사업 중 하나인 '행복마을관리소' 사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공공기관에 입주하지 못한 일부 지자체의 관리소들이 임대료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11월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노인·장애인 등 취약거주자가 많은 지역, 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복지수요가 많은 주거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모해 사업지를 선정한다. 올해 기준 경기도와 지자체는 예산을 절반씩 부담해 관리소별로 최대 3억7천만원을 지원했다.
이 중 약 87%가 인건비로 투입되는데 주로 마을 주민들이 계약직 형태로 '마을지킴이'로 채용돼 관리소를 운영한다.
인건비를 뺀 나머지 예산이 관리소의 '지역특색사업 활동비' 등 각종 사업에 들어가는 실질적인 운영비로 사용되는데, 문제는 민간건물에 임차한 관리소의 경우 이 운영비에서 임대료와 공과금을 모두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하남시는 신장1동 등 4곳에서 행복마을관리소를 운영하지만, 모두 민간건물에 임차해 관리소마다 연평균 1천560만원의 임대료를 내고 있다.
광명에 있는 관리소 2곳도 각각 연간 960만원, 1천656만원의 임대료를 부담해야 한다. 현재 민간건물에 임차한 도내 행복마을관리소는 전체의 약 30%다. 이런 탓에 하남시는 코로나19 공공장소 방역 지원, 홀몸 어르신 안부 묻기 등 비용 부담이 적은 사업을 중점으로 진행했다.
반면 주민자치센터에 무상으로 입주한 안성시 삼죽면 행복마을관리소는 취약계층을 위한 이불 빨래방 운영과 취약주거시설 집수리 등 예산 활용이 높은 주민 복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설립 취지와 달리 예산이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온전히 활용되지 못한다며 도에서 공공시설 입주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기도 관계자는 "앞으로는 행복마을관리소 신규 선정을 공모할 때 공공시설 입주가 가능한 지역에 이점을 주는 방식으로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지영기자·고건수습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