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일 판교를 찾았다. 청년들과의 토론배틀에 나선 이 대표는 여성 할당제,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판교를 지역구로 둔 김은혜(성남분당갑) 의원과 이날 오전 11시부터 판교유스페이스 광장에서 '분당판교 청년 토론배틀' 행사에 나섰다. IT기업이 밀집해있는 판교테크노밸리에 IT 개발 업무에 종사하는 청년들이 많은 점을 감안한 듯 이 대표는 "저도 정치인 하기 전에 본업이 개발자였다"고 운을 떼면서 "요즘 말이 많이 나오는, 저에 대한 산업기능요원 병역 비리 얘기도 개발자로 일하던 시절 이야기다. 이 동네(판교) 분들은 병역특례한 분들도 많고 해서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것을 알겠지만, 정치적 공세라는 게 그런 것"이라고 자신을 둘러싼 산업기능요원 관련 의혹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판교에 오기 전에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따릉이'의 적자 문제를 이야기했다. 모두 민간 공유 모빌리티 기업에서 먼저 했던 고민"이라며 "정치 하면서 10년 정도 부침이 있었는데, 우리 정치가 굉장히 현실과 괴리돼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어떤 사안에 대해 국민을 대표해 판단을 내리려면 정치인들 스스로도 공부를 열심히 하고 판단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정치가 문제 해결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면 민간보다 똑똑할 순 없어도 '원래 그런거야'라고 하지 않고 탐구하는 게 중요하다. 정당 정치의 미래는 거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젊은 지성들이 모인 거리에서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대화들을 하며 정당이 가야할 길을 조금이라도 모색하고 싶다"고 판교에 온 이유를 설명했다.
이른바 '정체성 정치'에 대한 견해를 첫 질문으로 받은 이 대표는 "제가 청년 정치의 대표 주자처럼 돼있지만 저는 제 입으로 청년이라는 단어를 안 쓴다. 사람들이 저한테 씌우려고 했던 '청년다움'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청년 정치인이라는 굴레 안으로 들어가면 청년 일자리, 대학 등록금 이런 문제를 다뤄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준다. 그게 역할 규정인데 굉장히 폭압적"이라며 "사람들에게 역할과 특성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 정체성을 단일화해서 강요한다. 이런 것에 대해선 반대하는 조류가 늘어날 것이다. 그 안에 있는 무수한 모순을 지적해가는 과정에서 저는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원래 페미니즘 운동도 '여성은 이래야 한다'는 여성다움에 대한 거부에서 시작했다. 그런데 래디컬(과격) 페미니즘은 여성을 항상 특정하게 규정하려는 방향으로 다시 갔다. 여성은 절대적 약자, 그러니까 할당제 아니면 극복할 수 없다는 주체로 역으로 규정하는 식"이라며 '여성 할당제' 논란을 언급하면서 "이런 모순은 정치권에서 끊임없이 짚어줘야 한다. 결코 가족오락관처럼 여성팀, 남성팀 나눠서 싸워야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에 대해서도 '청년다움'을 거부하는 점과 연계해 "제가 당 대표가 되니까 더불어민주당에서 '젊은 사람이니까 수술실 CCTV에 찬성해야 한다'고 한다. 그게 젊은 사람과 무슨 상관인가. 내가 논리적으로 판단해서 너무 성급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왜 젊은 사람이면 찬성해야 할 문제로 규정해서 공격하나. 그런 것들도 우리가 거부해야 할 문화 중 하나"라며 "앞으로 '~다움', '~라면 이래야 한다'는 것을 박멸하는 게 정치를 하면서 가지고 있는 목표 중 하나다. 왜 대한민국에서 정치하는 사람들은 '~라면 이래야해'라는 식으로 역할 규정을 하는지, 거기에 대한 거부에서부터 새로운 정치가 시작된다고 본다"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배틀 행사는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모두 15명의 시민이 마이크를 잡고 이 대표에게 질문했다.
이 대표는 판교를 지역구로 둔 김은혜(성남분당갑) 의원과 이날 오전 11시부터 판교유스페이스 광장에서 '분당판교 청년 토론배틀' 행사에 나섰다. IT기업이 밀집해있는 판교테크노밸리에 IT 개발 업무에 종사하는 청년들이 많은 점을 감안한 듯 이 대표는 "저도 정치인 하기 전에 본업이 개발자였다"고 운을 떼면서 "요즘 말이 많이 나오는, 저에 대한 산업기능요원 병역 비리 얘기도 개발자로 일하던 시절 이야기다. 이 동네(판교) 분들은 병역특례한 분들도 많고 해서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것을 알겠지만, 정치적 공세라는 게 그런 것"이라고 자신을 둘러싼 산업기능요원 관련 의혹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판교에 오기 전에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따릉이'의 적자 문제를 이야기했다. 모두 민간 공유 모빌리티 기업에서 먼저 했던 고민"이라며 "정치 하면서 10년 정도 부침이 있었는데, 우리 정치가 굉장히 현실과 괴리돼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어떤 사안에 대해 국민을 대표해 판단을 내리려면 정치인들 스스로도 공부를 열심히 하고 판단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정치가 문제 해결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면 민간보다 똑똑할 순 없어도 '원래 그런거야'라고 하지 않고 탐구하는 게 중요하다. 정당 정치의 미래는 거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젊은 지성들이 모인 거리에서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대화들을 하며 정당이 가야할 길을 조금이라도 모색하고 싶다"고 판교에 온 이유를 설명했다.
이른바 '정체성 정치'에 대한 견해를 첫 질문으로 받은 이 대표는 "제가 청년 정치의 대표 주자처럼 돼있지만 저는 제 입으로 청년이라는 단어를 안 쓴다. 사람들이 저한테 씌우려고 했던 '청년다움'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청년 정치인이라는 굴레 안으로 들어가면 청년 일자리, 대학 등록금 이런 문제를 다뤄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준다. 그게 역할 규정인데 굉장히 폭압적"이라며 "사람들에게 역할과 특성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 정체성을 단일화해서 강요한다. 이런 것에 대해선 반대하는 조류가 늘어날 것이다. 그 안에 있는 무수한 모순을 지적해가는 과정에서 저는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원래 페미니즘 운동도 '여성은 이래야 한다'는 여성다움에 대한 거부에서 시작했다. 그런데 래디컬(과격) 페미니즘은 여성을 항상 특정하게 규정하려는 방향으로 다시 갔다. 여성은 절대적 약자, 그러니까 할당제 아니면 극복할 수 없다는 주체로 역으로 규정하는 식"이라며 '여성 할당제' 논란을 언급하면서 "이런 모순은 정치권에서 끊임없이 짚어줘야 한다. 결코 가족오락관처럼 여성팀, 남성팀 나눠서 싸워야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에 대해서도 '청년다움'을 거부하는 점과 연계해 "제가 당 대표가 되니까 더불어민주당에서 '젊은 사람이니까 수술실 CCTV에 찬성해야 한다'고 한다. 그게 젊은 사람과 무슨 상관인가. 내가 논리적으로 판단해서 너무 성급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왜 젊은 사람이면 찬성해야 할 문제로 규정해서 공격하나. 그런 것들도 우리가 거부해야 할 문화 중 하나"라며 "앞으로 '~다움', '~라면 이래야 한다'는 것을 박멸하는 게 정치를 하면서 가지고 있는 목표 중 하나다. 왜 대한민국에서 정치하는 사람들은 '~라면 이래야해'라는 식으로 역할 규정을 하는지, 거기에 대한 거부에서부터 새로운 정치가 시작된다고 본다"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배틀 행사는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모두 15명의 시민이 마이크를 잡고 이 대표에게 질문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