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 잃은 청년몰 푸드코트
정부가 청년창업을 통해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겠다며 수백억원을 들여 도입한 '청년몰'에 입점한 점포의 반 이상이 줄폐업하고 있다. /경인일보DB

한곳당 5억~10억 예산투입… 배달앱 주문 개선·브랜드 개발도 병행
전문가 "입지·대중적 메뉴 선정 문제 해결 등 원점에서 재검토 해야"

사후관리 부실과 배달 환경 미비로 줄폐업이 이어진 청년몰(5월13일자 12면 보도=찻길없어 배달기사 '뺑뺑 돌기' 일쑤…청년몰 영업난)에 대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후속 대책을 내놨지만 반쪽짜리 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2022년도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청년몰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배달을 활성화 시킬 방안을 내놨다.

이번 사업에는 청년몰 알림 및 안내체계 개선 방안과 마케팅·수익사업 공동 추진 방안이 포함됐다. 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진입로를 확장하고 바닥·조명, 환기시설을 개설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청년몰당 최대 5억~1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국비 50%, 지방비 40%, 청년 자부담 10%다. 단 청년 자부담은 지자체와 상인회가 대신 부담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배달앱 주문 개선과 관련해서는 최대 6천만원을 투입해 전체 전통시장 차원에서 대대적 개선이 추진된다. 박스, 포장용기, 봉투 등 소모물품을 지원하는 한편 시장 내 배송 관리·운영을 외부 위탁하고 브랜드 이미지, CI, 마스코트 등 브랜드 개발도 병행한다.

최대 40억원을 투입해 신규 청년몰도 조성된다. 예산은 기존 청년몰 활성사업과 같이 국비 50% 지방비 40% 청년 자부담 10%이며 임차료와 인테리어 비용을 일부 보조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일시적 대책에 불과하며 청년몰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찬수(58) 지역사회연구원 원장(전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은 "일단 입지가 문제"라며 "어느 정도 상권이 형성된 곳에 점포를 마련해야 하는데 현재 청년몰은 임대료 문제 등으로 중심상권과는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초심자는 성공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년 사장들은 경험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해 수요자 입장에서 일반인도 접근이 용이한 메뉴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청년몰이 공급자 입장에서 만들기 쉬운 메뉴만을 만든다"며 "지금대로라면 프랜차이즈가 우후죽순 생겼다가 망하는 것처럼 청년몰도 문 닫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여진기자 aftershoc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