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 앞두고 추천후보 번복등
청년 '전략공천' 실패 사례 잇따라
스타 정치인 독무대에만 의존 지적
"정당 전폭적 지지·경제적 지원을"

국내 인구 가운데 26% 이상인 2030세대가 적극적인 정치 참여에 나서면서 정치권 필요에 따라 청년들이 소환되고 있지만, 이미지만 소비하기 바쁘다는 자조의 목소리가 청년들 사이에서 나온다.

실제 지난해 21대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의 공천관리위원회가 파주갑 등 수도권 10곳 이상을 '청년공천지역(퓨처메이커)'으로 선정해 청년 후보를 공천하려 했다가 과반 지역에서 지역과 상관없는 인물이 나올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오자 의왕·과천과 화성 등 일부지역에서 무산시키고 지역 인사를 추천키로 번복했다.

같은 시기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서울 강남병 지역을 청년우선전략선거구로 지정, 김한규 전 변호사에게 공천을 줬으나 지역 내 입지가 약해 낙선한 바 있다. 모두 청년정치인 모시기에 급급하다가 실패한 사례다.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국민의힘 경기도당 김도훈 청년위원장은 "도내 59개 당원협의회에서 청년지회장에게 대의원 자격을 안 줘 당내 표결행사를 못 하는 청년지회장이 과반"이라며 청년지회장임에도 권한은 거의 없는 편이라고 해 제도적 기틀이 없음을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정치가 '청년 키워드'만 소비하려 하고 정작 '청년 정치인'을 지속 양성할 만한 기반은 마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인사이트케이 배종찬 연구소장은 "스타 청년 정치인이 독무대를 차지하는 것이 아닌, 스타가 아닌 청년들도 정치무대에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며 "스타성이 있는 한 사람을 공천하는 데 의존하는 게 아닌, 지역에서부터 어떤 역할로 어떻게 성장시킬지 정당이 지원하고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청년정치인들은 청년에게 정치인이 될 기회가 적다는 점을 문제로 짚었다.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광역과 기초 선거에 최대 30%를 청년의 몫으로 줄 것을 언급했으나 실제로는 광역·기초를 통틀어 청년(만 45세 미만)은 16%에 불과했고 국민의힘도 청년과 여성 몫 50%를 약속했으나, 청년 후보 비중은 10% 남짓이었다.

정당의 적극적인 변화 없이 청년정치인 양성은 어렵다는 의견이다.

청년정의당 정채연 도당위원장은 "기성 586세대와 달리 요새 청년정치인들은 성장하려면 선배 정치인이 끌어주는 것보다 독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당차원의 전폭적인 지지와 경제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명종원기자·조수현수습기자 ligh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