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의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6%나 올라 4개월째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농·축·수산물과 원자재, 서비스가격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오르면서 7월의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훨씬 심각하다. 체감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3.4% 올라 3년 11개월 만에 상승폭이 최대이다.
또한 생활 물가가 4개월 연속 고공행진 중이며 밥상물가를 좌우하는 농·축·수산물 물가는 같은 기간에 10%나 인상되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체 460개 품목 중 쌀, 달걀, 쇠고기, 소주 등 소비자들의 구매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추려서 계산한다. 점증하는 외식비 부담에 도시락을 싸들고 출근하는 직장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서민물가는 이미 초인플레 수준이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추석을 앞두고 지급될 5차 재난지원금이 물가상승을 부채질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작년 5월에 정부가 처음으로 전 국민에 1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뒤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른 전례가 있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난지원금이 생활물가에 영향을 주면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타격을 받을 뿐 아니라 자칫 돈이 자산시장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행도 지난달에 내놓은 보고서에서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 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됨은 물론 미국 등 각국 정부의 부양책 시행에 따른 세계적 물가상승 압력이 국내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4차 유행은 설상가상이어서 경기회복의 불확실성이 커져 자칫 물가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까지 점쳐지는 상황이다. 글로벌 곡물 가격 상승도 주목된다. 그럼에도 정부는 하반기 물가안정론을 반복하고 있다. 근래의 물가 오름세는 작년 2분기 물가상승률이 이례적으로 낮아서 발생한 기저효과 탓이 큰데다 여름철 이후의 농축산물 공급 확대와 석유류 오름세 진정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그러나 집값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주장을 믿는 소비자와 전문가는 찾아보기 힘들다. 현 경제 상황으로는 물가상승이 상당 기간 지속될 개연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물가압력이 높은 민생품목에 대한 집중관리로 인플레 충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사설] 민생 집중관리로 인플레 충격에 대비해야
입력 2021-08-04 20:13
수정 2021-08-04 20:1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8-05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