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2.jpg
11일 오후 성남시 분당구 야탑역 광장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 검사대기줄이 이어지고 있다. 2021.8.11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경기도 내 코로나19 선별진료소·임시선별검사소의 지역별 편차가 커 일부 지역은 '검사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방역 차별'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신규확진 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도내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터라 설치 및 관리 주체인 기초 지자체는 예산확보와 장소 물색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역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검사인력, 진료소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10일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는 2천223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기도 역시 10일 역대 최대치인 666명이 코로나 신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성남 헬스장(누적 14명), 안산 대안학교(누적 16명) 등 새로운 집단감염이 확인됐으며, 양주시 헬스장 및 어학원(누적 122명)·광명시 자동차공장(누적 98명) 등 기존 집단감염의 발생 규모도 커지는 실정이다.

언제 어디서 집단감염이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지만 도내 선별진료소·임시선별검사소 수는 지자체마다 차이가 크다. 실제로 10일 기준 수원 신규확진자 수는 4천145명이고 부천도 3천883명으로 비슷한 수준이지만, 수원은 14개 진료·검사소가 있고 부천은 7개뿐이다.

확진자 수 비슷한 수원과 부천, 진료 검사소 각각 14개·7개
시흥 7개 설치됐지만 비슷한 확진자 규모 광주는 4개 불과
국가 지원 예산으로 설치하지만 추가 땐 지자체 예산 투입해야
"부족한 지역의 검사인력 확충하고 진료소 늘리는 등 대책필요"
신규확진자가 2천92명이 발생한 광주와 비슷한 규모의 시흥(2천11명), 의정부(2천115명)의 경우도 시흥과 의정부는 각각 7,8개 진료·검사소가 설치됐지만 광주는 4개에 그쳐 절반 수준이다.

주말, 공휴일 운영 여부도 지자체마다 달랐다. 남양주시의 7개 진료소는 주말과 공휴일에 운영하는 반면 부천은 7개 진료소 중 5개, 의정부는 8개 중 7개가 운영하지 않았다. 동두천과 연천은 진료소가 2개뿐이지만 모두 주말, 공휴일에 문을 닫았다.

2222.jpg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태 이후 최다인 2,223명을 기록해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린 11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보건소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2021.8.11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의정부시 관계자는 "의정부시의 면적이 넓지 않다 보니 아직 주말에 진료소가 부족하다는 민원은 없지만 평일보다 주말에 검사 건수가 많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시선별검사소의 설치, 관리주체인 기초 지자체의 형편에 따라 차이가 벌어지는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국가에서 지원된 예산으로 임시선별검사소 등을 설치하지만 확산 추세가 커져 추가로 더 설치해야 할 경우 기초 지자체가 자체 예산을 세워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확산세가 커져도 지자체는 진료소를 추가 설치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진료소를 추가 설치할 적절한 장소를 찾기 힘들다"며 "투입되는 인력, 인건비 역시 큰 문제라 진료소를 늘리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도민들의 건강권을 평등하게 보장하기 위해 부족한 지역의 선별진료소·검사소를 늘려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적절한 분배가 중요한데 지자체가 선별진료소의 운영인력을 제공하다 보니 한계가 있다"며 "부족한 지역의 검사인력을 확충하고 진료소를 늘리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지영기자·이자현기자 nature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