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가 발송하는 '안전 안내문자'가 통신사의 기지국에 따라 거주지가 아닌 타 지역 정보가 잘못 제공, 시민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

화성, 용인과 인접한 수원 영통구에 사는 박모씨(70)는 여기저기서 오는 문자에 정신이 없다. 다른 지역에 가지 않아도 용인, 화성, 수원에서 모두 안전 문자가 오기 때문이다. 박씨는 "어쩔 수 없다고는 생각하지만 피곤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기자가 23일 오전 10시께 화성과 수원 사이의 오목천역을 찾자 화성시청, 수원시청에서 안전 문자가 왔다. 11시께 찾은 영통역에서는 성남, 용인시청에서 문자가 오기도 했다.

안전 문자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중심으로 전파된다.

기지국의 전파는 장애물이 없다는 가정하에 15km까지 도달한다. 번호 수집 없이 기지국에 연결된 모든 휴대폰에 강제발송되다 보니 비용은 들지 않지만 행정구역 경계지역에 위치한 곳은 타 지자체 문자를 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쏟아지는 안전 문자에 시민들의 피로도는 커지고 있다. 화성 봉담에 사는 유모씨(28)는 "안전문자의 알림 자제를 꺼 놨다"며 "해야 할 일도 있는데 자꾸 문자가 와 피곤하다"고 토로했다.

어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지역의 안전문자만 받는 방법도 있지만 정작 시민들은 잘 모르는 상황이었다. 용인에 사는 김모씨(26)는 "취준생이라 중요한 문자를 놓칠까 알림을 꺼둘 수밖에 없었다"며 "앱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사실은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보내니 경계 지역 시민들이 일상생활이 지장이 갈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민원이 많이 들어온다"고 말했다.

번호를 수집해 보내는 방법은 시간이 많이 들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게 이 관계자의 추가 설명이었다.

안전 문자 남발에 따른 부작용은 결국 시민에게 돌아간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비가 와도 더워도 문자가 오는데 지자체에 많은 발송 권한을 주다 보니 경계지역은 스트레스가 쌓인다"며 "그러다 보면 알림을 끄는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공 교수는 "경계지구라고 하더라도 그 시에 소속돼 있는 문자가 발송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자현기자 naturelee@kyeongin.com